Table 5. Categorization of facilitation and inhibition item of each factor for just culture

공정문화 6개 요인 촉진/억제 범주 문항수
조직신뢰 촉진 지휘관 신뢰 2
기준제시/시스템적 접근 2
조직 유대감/의견존중 2
참여/결정 공감 2
개선지향 2
억제 지휘관 비신뢰 2
책임회피/처벌 지향 2
불공정 업무처리 2
구성원간 갈등 2
정보공유 촉진 개방적 의사소통 2
소통시간 및 여건 마련 2
다양한 정보공유 2
문제해결책 지향 2
억제 상호비난 2
권위적 리더십 2
의사소통 자세 부족 2
정보공유 기회 미흡 2
합리적 보고체계 촉진 보고시스템 활성 2
보고여건 조성 2
confess 풍토 2
처벌보다 재발방지에 초점 2
명확한 보고 2
억제 비난 및 질타 풍토 2
지휘관의 책임전가 2
비난에 대한 두려움 2
보고시스템 기준, 시간 문제 2
의견수용 촉진 열린 마음 2
경청자세 2
의견 존중 2
의견 창구 다양성 2
억제 권위적 리더십 2
권위적 분위기 2
의견 무시 2
의견 창구부재 2
조직균형 촉진 실수 공유 독려 조성 2
사고 및 실수 재발 방지 논의 2
자유로운 의사소통 2
책임감 2
공정 처분 2
주기적 교육 2
상호 신뢰 및 친밀 2
억제 질책풍토 2
무원칙 처벌 2
파괴적 소통 2
성과중시 및 부당업무 2
조직 통합성 촉진 토의 여건 보장 2
안전 개선의지와 시스템적 원인탐색 3
비처벌 풍토 2
소속감과 주인의식 2
책임감과 관심노력 2
안전교육 2
억제 공감능력 부족과 무관심 2
편파적 처벌과 처벌 일반화 2
업무로드 과중 2
책임회피 및 수동적 업무태도 2
형식적 조직문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