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특성 | 성별, 학년, 전형 | 3 |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 학습욕구진단 | 지적 호기심에 대한 만족, 스스로 책을 사서 읽음, 잘 모르는 것에 대한 태도, 새로운 것을 대하는 태도, 배우고자 하는 것에 대한 태도, 스스로 학습 능력을 갖고 있다는 믿음. 하고 싶은 공부에 대한 태도, 실패에 대한 태도, 좋은 직업 기회에 대한 태도, 새로움에의 욕구 | 10 (8) | 0.86 |
학습목표설정 | 계획한 일 날짜나 시간의 결정, 일일 계획 설정, 계획대비 학습 진행, 학습 순서 계획, 향후 5년 후 계획 설정 여부 | 5 | 0.88 |
학습 위한 자원파악 | 다양한 참고문헌 활용, 모르는 것에 대한 태도, 관심 있는 친구나 동료들 을 활용, 가르쳐 줄 수 있는 선배나 전문가 활용, 내가 배우고 싶은 것이 있으면 모든 방법을 동원, 시험이나 과제수행을 위해 필요한 자료의 수집 | 5 | 0.84 |
기본 자기관리능력 | 공부가 잘 되는 장소의 활용, 일어나고 싶은 시간에 일어나는 능력, 스스로 알아서 일처리, 과제는 기한에 맞게, 준비물이나 과제, 교제 등의 준비능력 | 5 (4) | 0.69 |
학습전략의 선택 | 강의가 끝나고도 수업내용 정리, 강사의 질문에 대답 노력, 공부할 때 중요한 내용 정리, 강사의 중요내용 기록, 강의 끝나고 쉬는 시간 활용 | 5 | 0.88 |
학습실행의지속성 | 할 일은 끝까지 수행, 누군가 도와주어야 끝냄, 내가 시작하고 끝내고, 싫증이 날 때 지속여부, 하던 일을 그만두고 새로운 일의 시작 여부 | 5 | 0.75 |
결과에 대한노력귀인 | 성적이 잘 안 나오면 더 열심히 공부, 시험성적이 잘 안 나오면 포기, 추진한 과제의 결과에 대한 평가 태도, 성적이 잘 나오면 더 열심히 준비, 성적에는 운이 많이 작용하는가에 대한 태도 | 5 (4) | 0.74 |
자기성찰 | 성적이나 과제수행 결과에 대한 스스로 평가, 나쁜 공부습관에 대한 스스로 생각, 결과를 보고 계획을 스스로 수정, 내 성적이나 과제수행결과를 다른 사람들과 비교 분석, 이미 끝난 과제도 더 잘 할 수 있는 방법 생각 | 5 | 0.89 |
학업 만족도 | 만족도, 재수강여부, 수강권유 | 3 | 0.92 |
총계 | 4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