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1. Work situational awareness scale for cabin crews (Sneddon et al., 2013)

구분 문항 업무 상황인식 비고
집중력 1 나는 가끔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외적 요인
2 나는 업무에 장시간 집중하지 못할 때가 있다.
3 나는 비행 중 업무가 너무 지겨우면 업무에 무관심할 때가 있다.
4 나는 업무 중 어수선한 경우가 종종 있다.
5 나는 업무 중 승객이 귀찮게 하면 업무에 집중이 잘 안 된다.
6 나는 객실 업무가 가끔 지루하다고 느끼곤 한다.
7 나는 객실에서 승객들이 부산을 떨면 업무에 집중하기 힘들다.
8 나는 승객이 나를 계속 부르면 업무에 집중하기 힘들다.
주의력 1 나는 팀원들과 대화하던 중 종종 두서없이 말할 때가 있다. 외적 요인
2 나는 승객 또는 상사가 요청한 세세한 내용에 집중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다.
3 나는 브리핑 또는 디브리핑 중 상사의 지시사항을 종종 까먹는 경우가 있다.
산만함 1 나는 객실이 만석이고 객실 내부가 소란스러우면 덩달아 산만해진다. 외적 요인
2 나는 중거리 비행 업무 중 깜빡 졸았던 경험이 있다.
3 나는 사생활 문제 또는 사적인 고민으로 맡은 업무를 소흘히 했던 적이 있다.
계획성 1 나는 일단 비행이 시작되면 내 모든 업무를 미리 숙지하고 있다. 내적 요인
2 나는 객실 내 모든 비정상상황을 대비해서 사전에 준비하는 경향이 있다.
3 나는 내 업무가 아니더라도 객실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기록하고 학습한다.
4 나는 비행 중 내 듀티 외에도 다른 팀원의 행동까지 모두 신경 쓰는 편이다.
5 나는 브리핑 중 지시사항을 항상 염두하고 업무에 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