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단계 | 연구주제에 대한 이해 | 자기계발 정보 및 기술 활용 | 학생연구원- 교수- 산업체 활동 (기술제공자) |
연구윤리의 이해 |
비상상황 및 비상탈출 절차에 관한 이해 |
VR 콘텐츠 기술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산업체 선정 |
VR 기술의 원리와 교육적 접근을 위한 적용 단계의 이해 |
연구단계 | 항공안전 국제 및 국내기준 검토 |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자기계발 고차적 사고 | 학생연구원 주도적 활동 |
항공사 안전교범을 통한 안전기준 확인 |
비상상황 발생에 따른 대표적 사례 및 절차 확인 |
항공안전사고 보고의 검토를 통한 비상상황의 환경 조사 |
사고재현 영상을 통한 실제 비상탈출 상황의 환경과 반응 조사 |
비상상황 발생 시 승객반응 및 객실승무원 대응에 대한 콘텐츠(시나리오) 정립 |
시나리오에 따른 상세 시놉시스 제작 |
검증단계 | 비상탈출 시나리오 기반 산업체(항공사) 안전훈련 실시 |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고차적 사고 | 학생연구원- 교수- 산업체 활동 (항공사) |
산업체 전문가(항공사)와 협업을 통한 시나리오 보완사항 검토 및 개선방안 검토 |
적용단계 | VR 학습콘텐츠 재현을 위한 시나리오 적정성 교차검토 |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정보 및 기술 활용 | 학생-산업체 활동 (기술제공자) |
VR 학습콘텐츠 기술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기술제공자와 주기적 논의 및 피드백 제공 |
VR 학습콘텐츠 1차 시연 및 보완 |
VR 영상 최종 시연 및 연구성과 자가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