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Original Article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이 전공인식, 전공몰입, 취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하영*
Ha Young Kim*
*중부대학교 항공서비스학전공 교수
연락저자 E-mail : hy108h@joongbu.ac.kr, 연락저자 주소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대학로 201

© Copyright 2023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13, 2023; Revised: Sep 03, 2023; Accepted: Sep 11, 2023

Published Online: Sep 30, 2023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competition for employment among college students has become more intense. It is also the time when strong personal beliefs and will to develop careers are required for successful employment through stable major stud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n major attitude and employment effic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aviation safety perception, which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aviation industry. For analysis,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who are enrolled i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area.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based on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items are verifi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safety knowledge and safety consciousness, which are sub-factors of aviation safety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have a positive (+) effect on subject recognition, learning process recognition, and career recognition of major recognition. Second, subject recognition, learning process recognition, and career recogni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recognition,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ajor commitment. Third, it is found that major commitment have a positive (+) effect on employment 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support plans and strategies for effective major study and successful employment are presented.

Keyword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항공서비스전공); Aviation Safety Perception(항공안전 인식); Major Recognition(전공인식); Major Commitment(전공몰입); Employment Efficacy(취업효능감)

Ⅰ. 서 론

대학생 시기는 발달단계의 측면에서 자아를 확립하고 개인의 인생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 중요한 단계이며, 자신의 적성과 역량을 고려하여 진로를 결정하고 개발해 나가는 시기이다(조은경, 2012). 특히 대학생들이 체감하는 취업경쟁은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 투입되는 노력과 비용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한국경제연구원, 2021). 이에 따른 교육훈련은 경제가치 및 생산력의 단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가장 유익한 자본이며, 축적된 기술와 지식, 창의력은 주요한 인적자본의 근원이 된다(Baker, 1976; Psacharopoulos, 2014). 따라서, 최고의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은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전공교육을 통한 학생역량개발에 힘쓰고 있다.

대학의 교육은 전공분야와 관련하여 전문지식과 기술 중심의 교과과정 편성을 통해 진로분야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취업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강승희(2010)는 전공의 환경과 활동에 관한 긍정적인 태도는 취업과 관련한 진로선택과 진로결정과의 연관성이 높다고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전공교과, 학습과정, 환경, 진로개발을 위한 내재적 역량에 대한 인식 등의 다양한 점검이 요구된다. 특히, 전공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토대로 심리적인 몰입이 가능한 경우, 학생 자신이 설정한 전문분야 진출을 위한 역량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적극적인 노력과 관심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경향이 있다(서홍원과 김형준, 2018).

한편 항공서비스학 전공은 항공서비스 전문가에 대한 수요증가로 인해 서비스 인적자원의 체계적인 양성과 관리를 목표로 항공사 객실승무직 취업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이수정, 2011). 객실승무원의 직무수행을 평가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며, 주요한 업무는 서비스 업무와 안전 업무로 크게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이영희와 이지민, 2015). 김종욱(2014)은 항공사고의 경험을 통해 객실승무원들이 안전교육훈련을 기반으로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승객의 안전의 확보하기 위해 신속하게 탈출을 수행하는 것이 객실승무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인식 변화는 항공서비스학전공 대학생의 교육체계와 안전의식에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서철현 외(2012)는 직무의 관점에서 개인이 소유한 능력과 자질, 주어진 업무에 대한 이해도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인식이 가능하다고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항공서비스학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항공안전 지식과 의식의 수준은 소속된 전공의 교과와 학습과정, 진로의식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현재 본 연구의 대상인 항공서비스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분야인 객실승무직은 취업을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산업현장을 반영한 교육적 전략이 필요한 시점으로 인식된다. 그러므로 진로분야 직무의 중요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식 수준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전공학습을 유지하고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개인의 의지를 측정하는 것은 의미있는 과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의 특성에 대한 변화의 추세를 반영하고, 긍정적인 전공태도와 애착을 통해 취업을 위한 개인의지의 영향성을 확인하고자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전공인식, 전공몰입, 취업효능감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를 통하여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효율적인 전공학습과 성공적인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방안 및 전략의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2.1 항공안전 인식

안전은 위험상황을 전제로 발생하는 상해, 사망 등과 재산상의 손실·손해가 야기되는 것을 의미한다(지윤호와 최형인, 2014). 이에 대해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인 항공운송의 경우, 항공안전은 항공기, 공항 등을 이용하는 고객과 종사원과 같은 인명이나 재산 손실을 발생시키는 위험요소를 감소시키고,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관리하여 연속적인 위험을 수용할 수 있는 기준 이하로 유지하는 상태로 정의되고 있다(ICAO, 2005).

장재경(2010)은 안전에 대해 인식의 개념을 접목하였으며, 안전에 관한 사실, 방법, 원인 등의 지식과 더불어 위험상황에 대한 지각과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안전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할 수 있는 기본적인 생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안전에 대한 위험인식은 개인가치, 역사, 이념 등을 반영하는 사회·문화적 개념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최경옥, 2017).

이러한 안전인식의 개념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요소인 안전지식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말하며,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행동의 근거가 된다(금은희, 2014). 그리고 많은 기업에서는 근로자의 안전지식 향상을 위해 교육훈련을 지속하고 있으며, 안전성과와 관련한 중요한 요인이라 연구되어 왔다(오명근, 2022). 마찬가지로 본 연구의 대상학생의 진로분야인 항공객실승무원은 항공기 사고, 테러, 위협행위 등에 따라 항공안전에 대한 우려와 그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비상사태에 대비한 행동요령과 절차에 대한 전문적이면서 강도 높은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김종욱, 2014).

반면에 안전에 관한 내재적인 관심과 가치관, 행동 등은 안전의식으로 정의된다. 안전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행동을 통해 실질적인 재난상황, 비상사태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적절한 안전조차를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김영옥, 2021). 즉, 객실승무원은 각 항공사의 안전관리체계를 업무환경과 절차에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해 안전에 관한 책임의식을 가져야 하며, 조직 문화를 일부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지윤호와 최형인, 2014).

김문경 외(2021)는 항공서비스학과의 교육목적과 목표에 부합하는 인재개발과 변화하는 시대상을 반영할 수 있는 전공능력에 대한 역량요소 중 항공안전실무를 포함하는 8개 항목의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즉, 경쟁력 있는 항공사 예비 객실승무원이 되기위해서는 항공서비스 전공능력에 기반한 역량개발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것은 안전유지와 같은 직무특수성을 이해하고, 직무에 대한 사명함과 책임감을 가져한다는 점을 학생들이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반영한다(윤은숙과 조명희,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 객실승무원의 주요한 역량인 항공안전과 관련하여 인식의 요소를 안전지식과 안전의식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공분야의 주요한 항목의 인식은 항공서비스학 전공 대학생의 긍정적인 전공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2.2 전공인식

전공인식은 개인이 선택한 학과에서 개별 특성과 적성, 학과를 포함하는 학교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가치, 태도, 신념 등을 말한다(홍성순, 2012). 전공인식과 관련한 연구에 따르면 전공인식은 전공교육과정 및 실습환경을 반영한 교육환경적 만족과 더불어 진로선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이효선, 2012). 따라서, 대학생활을 통한 미래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이므로 대학생활지도, 학습과 진로 지도의 기반을 재공하고자 전공인식의 분석이 요구된다(김선희와 김경숙, 2003).

전공인식의 구성요인을 살펴보면, 홍성순(2012)과 김지혜(2016)는 대학생들의 전공인식을 사회적 인식, 교과만족인식, 실습과정인식으로 구분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전공과 관련한 사회적 인식은 전공에 대한 자부심과 사회생활에서의 긍정적 작용을 말하며, 교과만족인식은 교육내용에 대한 흥미와 인식, 만족을 포함한다. 실습내용인식은 이론과 실습의 적절한 운용, 실습환경, 개인의 수준에 부합하는 정도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효선(2012)은 전공인식을 교과과정, 교수진, 취업진로의 지도, 전공내용을 반영한 ‘교육적 전공인식’과 사회 및 가족으로부터의 인정, 가치실현, 목표, 성취를 포함하는 ‘사회적 전공인식’으로 구분하였다.

안순이 외(2020)는 객관적인 행동유형을 나타내는 DISC를 활용하여 관광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과 전공만족, 직업선호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과과정이나 교수자와의 관계, 교육환경 등의 긍정적인 전공인식도가 높을수록 직업선택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전공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는 요소들을 잘 관리하여 진로탐색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함을 시사하였다. 이지현(2020)은 외식 관련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전공인식 중 실습요인은 제외한 사회적 인식과 교과만족은 취업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직접적인 교과활동을 통한 역량개발과 학생 개인의 내재적 가치 인식이 성공적인 취업활동에 영향이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교과인식’과 항공서비스학과의 실무과정을 반영하는 ‘실습과정인식’, 개인의 자부심과 진로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진로인식’의 3가지 하위요인을 연구에 적용하였다.

2.3 전공몰입

전공몰입은 전공관련 직업이나 전문분야에 대해 자신의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관심을 기울이고 노력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고자하는 의지 및 정서적 상태를 말한다(정진철 외, 2007). Porter et al.(1974)은 전문가들이 자신의 분야에 대해 몰입하는 강도와 동일시 정도를 설명하였으며,이후 전공몰입의 개념은 대학생들이 자신이 속한 전공과 전공에서 진행하는 과정에 몰두하는 상태와 애착으로 구체화 되었다(남순현, 2005).

이처럼 전공과 관련하여 몰입 경험을 하게 되면 학습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흥미를 느끼데 되고, 높은 수준의 학습경험, 창의성, 자기 존중감, 능력 개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Csikszentmihalyi, 1990; 주신옥, 2023). 또한, 강종수(2017)는 전공에 대한 몰입의 경험이 높은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지게 되고, 이를 통해 형성된 만족은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는 진로로 진출하게 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즉, 대학생활은 전공영역 중심으로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재학 중 학생들은 전공몰입 수준에 따라 학교에 대한 만족과 적응도가 향상되고, 대학의 측면에서도 교수활동을 원활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이다(장재윤 외, 2007).

전공몰입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반태현(2016)은 회계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성과와 전공몰입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산회계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몰입은 취업의지를 상승시키는 주요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하였고, 학생들의 궁극적인 목표인 취업을 위해 전공학습에 대한 집중이 가능하도록 인적․물적 자원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시사하였다. 박현숙(2018)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관련한 소명의식, 감성지능과 전공몰입을 통한 행복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행복감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전공몰입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것은 몰입의 경험을 통해 전공학문의 의미를 발견하고, 이로인한 긍정적 변화는 행복감 증진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몰입은 개인의 삶의 질에 주요한 기준이 되고, 더불어 개인의 행복과도 연관된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Csikszentmihalyi, 1990).

2.4 취업효능감

취업효능감은 구직효능감, 자기효능감의 이론적 정립을 통해 취업의 영역으로 확대된 개념이다(박은미, 2013). 따라서, 다양한 취업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Wanberg et al., 1996). 즉, 학생 개인이 취업 과정에서 필요한 진로사정, 진로포부, 취업관련 정보 획득, 전공선택 확신, 직업선택 확신 등에 관한 개인의 능력과 기대라 할 수 있다(김병숙과 정태욱, 2005).

자기효능감이론에 의하면, 특정 행동을 위한 낮은 효능감은 그 행동을 회피하게 하며, 반면에 효능감이 높은 경우 목표행동에 더 적극적으로 접근하도록 동기가 가능하게 된다(Bandura, 1986). 이러한 매락을 진로준비와 연계하여 본다면, 취업 효능감은 대학생들의 궁극적인 목표인 진로결정을 위한 인지와 태도 변화에 수반되어야 할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변인이다(박예영과 이동형, 2014). 또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취업기회를 찾거나 취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기주도적 태도를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이은혜, 2007). 따라서,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은 부모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하여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통해 직업 및 진로를 준비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는 특성이 존재하므로 개인별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취업효능감의 향상시킬 필요성이 인식된다(윤미, 2016).

취업효능감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김현정(2018)은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의 교육환경이 교육만족,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공서비스학과의 주요한 진로분야인 항공사에서 원하는 인재상에 부합되는 교과과정은 학생들에게 객실승무원 진로를 위한 자신감과 자신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신영미와 유은경(2021)은 관광계열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과만족, 수업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을 반영하는 전공만족은 일정한 상황에 대한 수행능력과 개인능력의 믿음, 자신감을 통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유도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효과적인 교과 편성 및 수업 운영과 더불어 실무적인 업무와 진로를 고려한 전공 프로그램과 교육을 통해 실행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능감을 발생시킬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Ⅲ.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인식(안전의식, 안전지식), 전공인식(교과인식, 학습과정인식, 진로인식), 전공몰입, 취업유능감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Fig.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jksaa-31-3-119-g1
Fig. 1. Research model
Download Original Figure
3.2 가설설정

본 연구는 앞에서 제시한 실증 연구모형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3.2.1 항공안전 인식과 전공인식과의 관계

안전지식과 안전의식을 나타내는 항공안전 인식은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진로인 객실승무원이 갖추어야 할 주요한 자질이며, 전공에 대한 긍정적 태도인 전공만족과의 관계를 유사맥락으로 설정하여 본 가설을 예측하였다.

하혜숙(2000)은 개인의 기대와 진로나 직업과 연관된 집단에 관한 판단은 사회적 인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 인식에 관한 개인의 지각은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에대해 손태복 외(2020)는 다양한 문화권 사람의 신념, 가치, 관습 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화적 역량 인식이 전공만족을 매개로 항공객실승무원직에 대한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타문화에 대한 참여의지, 개방성, 문화공감이 전공인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타문화의 이해와 경험은 항공서비스분야 전공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관심, 인식이 향상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김하영(2021)은 동기의 수준에 대한 개인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핵심역량이 전공만족,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진로환경에서 비롯된 국제적 소양과 상식, 국제매너, 외국어 소통의 필요성 인식이 증가할수록 전공교육의 긍정적인 인식이 상승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안전인식과 전공인식 간의 영향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H1: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중 안전의식은 전공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중 안전의식은 교과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중 안전의식은 학습과정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중 안전의식은 진로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중 안전지식은 전공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중 안전지식은 교과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중 안전지식은 학습과정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3: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중 안전지식은 진로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2 전공인식과 전공몰입과의 관계

전공인식과 전공몰입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인식과 몰입의 맥락을 통해 그 관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김정애(2010)는 호텔종사원이 외식관련 전공교육인식이 높을수록 직장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다. 호텔종사원 채용 시 외식관련 전공자의 선발을 통해 개인의 직무에 집중하게 하여 호텔운영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조명현(2021)은 교수의 지지가 자기인식을 통해 전공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교수의 지지는 학생들이 전공에 몰입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평소 자신이 생각하고 느끼는 점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전공에 대한 애착과 공부에 더 몰입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인식과 전공몰입 간의 영향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H3: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은 전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1: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 중 교과인식은 전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2: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 중 학습과정인식은 전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3: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 중 진로인식은 전공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3 전공몰입과 취업효능감과의 관계

송윤정과 조규판(2015)은 대학생의 학습몰입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습몰입은 학업수행, 성적향상, 학업에 관한 지속을 위한 핵심적인 요인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업과 진로에 대한 자신감인 효능감이 고취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김경렬 외(2012)는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운동몰입이 자아존중, 자기효능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학생들은 체육활동에 참여하여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와 결심에 대한 심리적 상태가인 운동몰입이 높게 인식될수록 학생들의 향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내재적 신념이 향상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몰입과 취업효능감 간의 영향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H4: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전공몰입은 취업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3 변수의 측정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은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문항을 토대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정 및 보완한 내용을 적용하였다. 설문지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서승혜, 2016; 이성희, 2021)을 알아보기 위한 총 13문항을 비롯하여 전공인식(주정은, 2013)을 측정하기 위해 총 12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전공몰입(유지명, 2021)을 측정하기 위한 5문항, 취업효능감(박은미, 2013)을 측정하기 위한 6문항을 포함하여 최종 36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설문의 척도는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상세한 구성개념에 관한 설명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Measurement item
구성개념 측정문항 및 조작적 정의
항공 안전인식 안전의식 SP1~SP6(6)
위험상황에 대한 인지 및 관련 정보를 습득하는 것
안전지식 SK1~SK7(7)
안전을 유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적극적인 인지도와 자세
전공인식 교과인식 CR1~CR4(4)
교과의 전반적인 구성, 흥미, 교육 방식에 대한 긍정적 태도
학습과정인식 LR1~LR4(4)
학습수행을 위한 환경, 지원 등에 대한 긍정적 태도
진로인식 JR1~JR4(4)
진로지도, 진로방향성, 자신감 등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전공몰입 MC1~MC5(5)
전공분야에 대한 집중과 애착
취업효능감 JE1~JE6(6)
취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감
Download Excel Table
3.4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11월 5일∼ 12월 15일까지 수도권 및 충청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18부의 설문을 배포하였으나 불성실 답변 1부를 제외한 21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을 바탕으로 SPSS 21과 AMOS 21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 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탐색적 요인분석에 따른 결과를 반영하여 측정문항에 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측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에 관한 경로계수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Ⅳ. 실증분석

4.1 인구통계학적 특성

설문에 대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성별분포는 여성이 183명(84.3%), 남성이 34명(15.7%)으로 여성의 응답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년은 2학년 118명(54.4%), 3학년 85명(39.2%), 1학년 9명(4.1%), 4학년 5명(2.3%)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보유하고 있는 성적은 중위권 136명(62.7%), 상위권 74명(34.1%), 하위권 7명(3.2%)으로 확인되었으며, 전공선택 동기는 본인이 희망한 경우 189명(87.1%), 부모님 및 주변사람의 권유 11명(5.1%), 취업이 잘 될 것을 고려한 경우 5명(2.3%), 학과 인기도 3명(1.4%), 대중매체의 영향 2명(0.9%)의 순으로 나타나 개인의 목표에 의하여 전공을 선택하여 진학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2 측정항목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측정항목의 타당성 평가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근거로 제시한 측정 문항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척도 순화과정을 통해 일부항목을 제거하였다. 항공서비스학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의 ‘안전의식’은 요인적재량 0.703∼0.815를 나타내며 동일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안전지식’은 0.602∼0.846을 나타내며 동일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전공인식은 선행연구를 반영한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낮은 적재량을 나타내는 2개 항목을 제거하였다. 따라서, 교과인식(0.507∼0.802), 학습과정인식(0.496∼0.826), 진로인식(0.752∼0.840)의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전공몰입은 요인적재량 0.734∼0.866의 수치를 나타냈다. 취업효능감의 경우 JE5, JE6을 제거하였으며, 0.719∼0.856의 요인적재량을 나타내며 동일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구성개념의 Cronbach 알파값이 모두 0.7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항목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각 요인에 관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Analysi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구성개념 문항 요인적재량 Cronbach α
항공 안전인식 안전의식 6 0.703~0.815 0.908
안전지식 7 0.602~0.846 0.931
전공인식 교과인식 3 0.507~0.802 0.826
학습과정인식 3 0.496~0.826 0.873
진로인식 4 0.752~0.840 0.897
전공몰입 5 0.734~0.866 0.917
취업유능감 4 0.719~0.856 0.881
Download Excel Table
4.3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4.3.1 측정항목의 평가

연구가설을 검증하기에 앞서 측정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적합도 향상을 위해 SMC 값이 0.4 미만인 안전지식의 1개 항목(SK7)을 제거하였으며, 진로인식의 1개 항목(JR1)을 제거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개념별 측정항목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구성개념 측정문항 SMC C.R. Standard estimate
항공안전 인식 안전의식 SP1 0.586 11.957 0.766
SP2 0.650 12.880 0.806
SP3 0.642 13.129 0.801
SP4 0.587 12.371 0.766
SP5 0.667 13.464 0.817
SP6 0.639 - 0.799
안전지식 SK1 0.756 - 0.869
SK2 0.847 19.849 0.920
SK3 0.721 16.862 0.849
SK4 0.824 19.283 0.908
SK5 0.704 16.482 0.839
전공인식 교과인식 CR1 0.628 - 0.792
CR2 0.627 12.580 0.792
CR4 0.614 12.449 0.784
학습과정인식 LR2 0.640 - 0.800
LR3 0.749 14.280 0.865
LR4 0.702 13.732 0.838
진로인식 JR2 0.548 - 0.741
JR3 0.712 12.744 0.844
JR4 0.834 15.944 0.913
전공몰입 MC1 0.802 - 0.895
MC2 0.521 12.831 0.722
MC4 0.673 15.938 0.821
취업효능감 JE1 0.511 - 0.715
JE2 0.757 11.920 0.870
JE3 0.745 11.843 0.863
Download Excel Table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반영한 측정항목을 결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기 위한 측정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적합도를 확인하고자 연구자가 세운 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평가하는 절대 적합지수와 타 모형과 비교를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는 간명 적합지수를 모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모든 수치가 우수한 수준의 적합도를 보이므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였다. 측정모형의 모형적합도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Measurement model fit
구분 절대적합지수 증분적합지수
CMIN p CMIN/DF RMR GFI AGFI RMSR-EA CFI IFI NFI
적합지수 536.461 0.000 1.944 0.022 0.846 0.804 0.066 0.943 0.944 0.891
수용기준 >0.05 <0.05 <1~5 <0.05~0.08 >0.8~0.9 >0.8~0.9 <0.05~0.1 >0.9 >0.9 >0.8
Download Excel Table

또한, 구성개념의 타당성 분석을 위해 요인별 개념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 값을 분석하였다. 집중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개념신뢰도 값은 0.986∼0.996의 수치를 보이며 모든 구성 개념이 0.7 이상으로 집중 타당성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Fornell and Larcker(1981)이 제시한 평균분산 추출(AVE)을 통해 판별타당성을 검정하였으며, 모든 변수간의 상관계수 제곱값이 AVE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판별 타당성을 충족하였다. 구성개념의 타당성 평가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Correlation matrix of variables
구성개념 1 2 3 4 5 6 7 CR
항공안전 인식 안전의식 1 0.995
안전지식 0.709**
(0.028)
1 0.996
전공인식 교과인식 0.729**
(0.028)
0.710**
(0.035)
1 0.987
학습과정인식 0.635**
(0.025)
0.701**
(0.034)
0.864**
(0.035)
1 0.990
진로인식 0.492**
(0.031)
0.564**
(0.041)
0.779**
(0.044)
0.794**
(0.043)
1 0.986
전공몰입 0.666**
(0.029)
0.661**
(0.038)
0.883**
(0.041)
0.810**
(0.038)
0.882**
(0.051)
1 0.987
취업효능감 0.761**
(0.027)
0.656**
(0.033)
0.762**
(0.034)
0.678**
(0.031)
0.628**
(0.039)
0.715**
(0.036)
1 0.989
AVE 0.966 0.982 0.961 0.972 0.959 0.961 0.969

p<0.05,

p<0.01,

p<0.001, ( )는 공분산의 표준오차임.

Download Excel Table
4.3.2 가설검증

본 연구의 경로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모형의 모형적합도는 CMIM=525.600, p=0.000, CMIN/DF=1.932, RMR=0.033, GFI=0.846, AGFI=0.801, CFI=0.945, NFI=0.893, RMSEA=0.066, IFI=0.946으로 본 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경로 분석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는 Fig. 2와 같다. 가설검증 결과,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인식의 안전의식과 안전 지식은 공인식의 하위요인인 교과인식, 학습과정인식, 진로인식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jksaa-31-3-119-g2
Fig. 2. Estimation result *p<0.05, **p<0.01, ***p<0.001.
Download Original Figure

또한, 전공인식의 하위요인은 모두 전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냈으며, 전공몰입은 취업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가설 H1-1, H1-2, H1-3, H2-1, H2-2, H2-3, H3-1, H3-2, H3-3, H4는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결과를 Fig. 2와 같이 도식화하였다.

Ⅴ. 결 론

최근 항공사는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갑작스러운 항공사고나 비정상상황 발생을 대비한 객실승무원의 안전의식과 업무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서비스분야의 진로를 희망하는 항공서비스학전공 대학생들의 항공안전 지식 배양과 안전의식 지각은 전공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애착을 형성하여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자신감을 통해 진로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전공인식, 전공몰입, 취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 문헌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 중 안전지식은 전공인식의 하위요인인 교과인식, 학습과정인식, 진로인식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ng and Liao(2009)는 지식-태도-행동의 연결을 통해 안전훈련을 통한 지식이 기내안전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은 안전교과 과정으로부터 배양된 지식을 통해 전반적인 전공교과와 학습환경, 진로선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둘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 안전 인식 중 안전의식은 전공인식의 하위요인인 교과인식, 학습과정인식, 진로인식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규형(2016)은 안전의식을 안전에 관한 심리적 측면을 반영하는 개념이라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전공학습의 핵심인 안전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인지도는 안전지식과 마찬가지로 전반적인 전공학습과 전공관련 진로 인식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 전공인식의 하위요인인 교과인식, 학습과정인식, 진로인식은 모두 전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공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기회와 교육과정, 학습품질, 진로개발 등을 통해 지각하는 긍정의 심리반응이 전공에 대한 애착을 높이고, 진로에 대한 목표달성에 대한 의지가 상승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경원(2018)의 연구에서 몰입은 인간의 행동을 근본적으로 발생시키는 동기 중 내재적 동기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전공의 긍정적 인지가 심리적 동기로 작용하여 전공몰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과 맥락을 같이한다.

넷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전공몰입은 취업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공몰입을 통해 자신이 하고 있는 학습에 정체성을 확인하고, 관련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목표를 달성하려는 의지가 생성이 되면, 궁극적으로 취업활동을 스스로 잘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연동이 될 수 있다. 이것은 강명수(2002)가 몰입을 통해 자신에 대해 합리화시키려는 효능감과 같은 심리적 강화 효과를 갖게 된다는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근거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항공분야에서 안전에 관한 이슈는 기업브랜드이미지의 핵심요인으로 간주된다(정은유와 인성호, 2018). 더불어 종사자인 객실승무원 직무수행에 있어 안전의식과 행동은 중요성이 강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은 진로분야의 직무에 대한 정보와 의식확립을 통해 항공서비스 전공 분야에 대한 신뢰와 긍정적 인식이 생성되는 것으로 유추된다. 따라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안전직무의 전문성과 책임의식 향상을 위해 사례를 통한 체험과 실습위주의 안전전문 교육과정을 강화하고, 안전의식 고취를 위하여 항공사 안전사례 및 안전정책 동향에 대한 정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신뢰와 애착 형성을 통해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상승을 위하여, 전공 내 교육서비스 제공수준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전공분야의 명확한 인식과 체계적 학습활동이 보장될 수 있도록 진로현장의 추세와 직무에 적합한 교수내용과 환경이 요구된다. 또한, 진로의식 고취를 위해 교수자의 심리적 지원과 지속적인 동기부여 활동이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분야의 서비스 중요성에 따른 마인드와 관련한 내재적 요인들을 분석한기존 연구에서 범위를 넓혀, 항공안전 분야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강조되는 항공산업체 환경을 반영하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항공안전 지식과 안전의식의 수준을 확인하고, 전공인식, 전공몰입, 취업효능감을 측정하고 그 인과관계를 연구한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항공안전 지식과 의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전공 및 진로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공안전 인식의 직접적인 학습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단계별 안전교과목을 수강한 고학년을 대상으로 안전학습과정 전·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공과 진로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는 것은 교육 효율성 측면에서 더욱 신뢰도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안전과 전공, 진로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것을 기반으로 태도를 통한 직접적인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진로준비행동, 진로탐색행동의 변인을 접목하여 확장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심도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후 기

이 논문은 2022학년도 중부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Cho, E. K.,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gratitude propensity on employment efficacy and job anxiety”, M.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February 2013.

2.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Employment Awareness Survey”, 2021.

3.

Baker, G. S., “The Economic Approach to Human Behavi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76.

4.

Psacharopoulos, G. (Ed.), “Economics of Education: Research and Studies”, Elsevier, Netherlands, 2014.

5.

Kang, S. H.,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9(3), 2010, pp.291-307.

6.

Seo, H. W., and Kim, H. J.,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contest participation mo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14(1), 2018, pp.105-119.

7.

Lee, S. J., “WT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airline applicant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February 2011.

8.

Lee, Y. H., and Lee, J. M.,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Air Cabin Service Practice”, Yeongyeong Cultural History, Seoul, 2015.

9.

Kim, J. W., “A study on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a legal license system for the airline cabin crew”, M.S. Thesis, Korea Aerospace University, Gyeonggi, February 2014.

10.

Seo, C. H., Yang, J. Y., and Mun, S. J., “The effect of hotel company's welfare system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truistic behavior”, Tourism Research, 27(1), 2012, pp.131-152.

11.

Ji, Y. H., and Choi, H. J., “An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mber safety awareness of hotel companies”, Hotel Management Studies, 23(6), 2014, pp.1-19.

12.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Safety Management System Manual”, 2005.

13.

Jung, J. K., “The recognition, practices, and knowledge of child care teachers for infant safety”,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June 2010.

14.

Choi, K. O., “The effects of passenger's aviation safety awareness on aviation safety behavioral intention”, M.S. Thesis, Chungwoon University, Chungcheongnam-do, February 2017.

15.

Kuem, E. H., “Simulation method using book art o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behaviors”,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niversity, Cheongju, February 2014.

16.

Oh, M. K., “Impacts of safety programs and safety knowledge of in-house subcontractor workers in power plant maintenance company on safety behaviors and accidents”,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niversity, Gyeonggi-do, February 2022.

17.

Kim, J. W., “A study on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a legal license system for the airline cabin crew”, M.S. Thesis, Korea Aerospace University, February 2014.

18.

Kim, Y. O., “Impacts of childcare teacher’s safety climate, consciousness and knowledge on safe and unsafe behavio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attitude”,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Gyeonggi-do, June 2021.

19.

Ji, Y. H., and Choi, H. I., “An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mber safety awareness of hotel companies”, Hotel Management Studies, 23(6), pp.1-19.

20.

Kim, M. K., Choi, I. M., and Oh. M. J., “Aviation service major competency diagnosis tool development and validity verificatio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5(5), 2021, pp.163-176.

21.

Yoon, E. S., and Cho, M. H., “Analysis of flight attendant competency and training needs of students enrolled in aviation service related de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viation Management, 12(6), 2014, pp.63-76.

22.

Hong, S. S., “The effect of major percep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in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focused on 2-year college students in the Gyeonggi area”, Fashion Business, 16(5), 2012, pp.39-56.

23.

Lee, H. S., “A study on major recognition and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major tracks of faculty of business Japanese language: Focusing on the case of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5, 2012, pp.189-206.

24.

Kim, S. H., and Kim, K. S., “Sports education: awareness of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major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undergraduat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Education, 42(3), 2003, pp.271-282.

25.

Hong, S. S., “The effect of major percep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in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focused on 2-year college students in the Gyeonggi area”, Fashion Business, 16(5), 2012, pp.39-56.

26.

Kim, J. H., “The influence of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in the GIRLS-HIPHOP majors upon the recognition of major and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M.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February 2017.

27.

Lee, H. S., “A study on major recognition and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major tracks of faculty of business Japanese language: Focusing on the case of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5, 2012, pp.189-206.

28.

Ahn, S. Y., Kim, J. D., and Choi, B. C.,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major recognition and job preference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typ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Tourism Management Research, 24(3), 2020, pp.359-382.

29.

Lee, J. H.,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recognition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food service departments”,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2(4), 2020, pp.191-213.

30.

Jeong, J. C., Hwang, Y. Y., and Jeong, H. S., “The effect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customer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 and major commitment”, Industrial Economics Research, 20(2), 2007, pp.761-785.

31.

Porter, L. W., Steers, R. M., Mowday, R. T., and Boulian, P. V.,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5), 1974, pp.603.

32.

Nam, S. H., “Commitment to major and job value: Focusing on differences by gender, region and field”,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19(1), 2005, pp.223-242.

33.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Performance”, Harper and Row, New York, 1990.

34.

Joo, S. O., “The effect of major commitmen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Tourism Research, 38(1), 2023, pp.25-45.

35.

Kang, J. S.,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major of social welfar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ork job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18(10), 2017, pp.393-400.

36.

Jang, J. Y., Shin, H. C., and Lee, J. Y., “Will immersing myself in my 'major' in college get me a good job?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immersion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ndustry and Organization, 20(4), 2007, pp.415-435.

37.

Ban, T. H., “The Effects of Accounting Majo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Performance and Major Commitment on Their Willingness to Work: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ternational Accounting Research, 70, 2016, pp.349-374.

38.

Park, H. S., “Relations between sense of calling, emotional intelligence, major commitment and happiness in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commitment”,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27(4), 2018, pp.332-341.

39.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4(1), 1990, pp.93-94.

40.

Park, E. M., “Effects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employment competence on employment support education satisfaction of employment education subjects”,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June 2013.

41.

Wanberg, C. R., Watt, J. D., and Rumsey, D. J., “Individuals without jobs: An empirical study of job-seeking behavior and reemploy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1), 1996, p.76.

42.

Kim, B. S., and Jung, T. W.,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improve job efficacy for junior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Research, 18(1), 2005, pp.206-227.

43.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NJ, 1986, pp.23-28.

44.

Park, Y. Y., and Lee, D. H., “The role of job search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3(2), 2014, pp.85-101.

45.

Lee, E. H.,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men's changes i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Focused on the job-training programs”, M.S. Thesis, Gangnam University, Gyeonggi-do, August 2007.

46.

Yoon, M., “A study on the job-seeking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August 2016.

47.

Kim, H. J.,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aviation service-related department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Tourism Management Research, 83, 2018, pp.1011-1032.

48.

Shin, Y. M., and Yoo, U. 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3(1), 2021, pp.117-134.

49.

Ha, H. S., “A study on department (undergraduate)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February 2000.

50.

Son, T. B., Kim, K. W., and Kim, H. Y., “A study on the effect of cultural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on professional intuition through major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28(3), 2020, pp.61-73.

51.

Kim, H. Y., “A study on the effect of core competencies on major satisfaction and job confid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Employment Career Research, 11(3), 2021, pp.89-113.

52.

Kim, J. A.,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work immersion according to perception of food service related major education of hotel employees”, Tourism Research, 25(4), 2010, pp.109-128.

53.

Jo, M. H., “The effect of professor's support on college students' major commi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ware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s, 30(6), 2021, pp.935-948.

54.

Song, Y. J., and Jo, G. P.,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learning immersion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earch on Learner-Centered Subject Education”, 15(4), 2015, pp.355-374.

55.

Kim, K. R., Kim, S. G., and Park, M. G.,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mmitment, self-esteem, self-efficacy, and behavioral intention of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Education, 17(3), 2012, pp.117-130.

56.

Seo, S. H.,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 influenced by aviation safety training programs for flight attendants.”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June 2016.

57.

Lee, S. H., “A study on the efectivenes of the aviation service department curiculum: Focused on NCS”, M.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June 2021.

58.

Joo, J. E., “The awareness towards the major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ased on the experience of preceding study among domestic students of model department”, M.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August 2013.

59.

You, J. M, “The effect of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tudents’ major engagement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the department of aviation services: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temporal distance”,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August 2021.

60.

Park, E. M., “Impact of learning-goal orientation and employment competence on satisfaction level with job training among job-seeking trainees.”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June 2013.

61.

Fornell, C., and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1981, pp.39-50.

62.

Chang, Y. H., and Liao, M. Y. “The effect of aviation safety education on passenger cabin safety awareness”, Safety Science, 47(10), 2009, pp.1337-1345.

63.

Kim, K. H., “The effect of airline safety management system on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 Ph.D.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February 2016.

64.

Lee, K. W.,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of security major college students”, Ph.D. Thesis, Kyungwoon University, Gyeongbuk, December 2018.

65.

Kang. M. S.,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community immersion and intention to use”, Management Journal, 3(1), 2002, pp.77-99.

66.

Jung, E. Y., and In, S. 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atmosphere of airlines and the safety behavior of cabin crew”,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0(8), 2018, pp.19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