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

중형 규모 공항의 소음저감 정책 분석

김영록*, 임재환**, 최연철***, 송기한****, 신홍우****
Young-Rok Kim*, Jae-Hwan Lim**, Youn-Chul Choi***, Ki-han Song****, Hong-Woo Shin****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한서대학교 항공운항관리학과
**경희대학교 경제학과
***한서대학교 항공정보산업대학원
****한국교통연구원 공항·소음분석센터
연락저자 E-mail : E-mail : pilotok@daum.net, 연락저자 주소 : 충남 태안군 남면 곰섬로 236-49 한서대학교 태안캠퍼스 본관

© Copyright 2018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Sep 04, 2018; Revised: Oct 10, 2018; Accepted: Nov 06, 2018

Published Online: Dec 31, 2018

ABSTRACT

The development in air transport increases noise around the airport.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around the airport,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has made a lot of effort since the 1970s and Many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are implementing many noise reduction polic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ose noise reduction policies of medium-sized airports with similar frequency to Gimpo, Jeju and Gimhae airports in South Korea and compares eleven airports in Europe, eleven airports in Asia and five airports in America, including Oceania. According to the research, European countries developed and applied the navigation procedure to avoid the noise are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port. In Asia, there are not as many domestic noise reduction policies. In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provides information only on noise-sensitive areas around airports. After having investigated various policies,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noise reduction policy of South Korea. It is concluded that new navigation procedures which reduce noise should be developed.

Keywords: Noise Reduction Policy(소음저감 정책); Gimpo International Airport(김포국제공항); Jeju International Airport(제주국제공항); Gimhae International Airport(김해국제공항); number of flights(운항횟수); Europe(유럽); Asia(아시아); the Americas(미주)

Ⅰ. 서 론

ICAO는 항공기 소음이 항공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1970년대부터 균형적인 접근(Balanced Approach)이라는 측면에서 소음관리를 하고 있다. 균형적 접근은 소음발생원에 대한 소음저감, 토지이용계획 및 운영, 소음저감 절차, 소음규제 등의 4가지로 구성되는데 각 국가들은 기존의 소음규제와 항공기 소음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들과 함께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7][8]. 우리나라도 국제적 추세에 맞추어 인천, 김포, 김해, 제주국제공항에 저소음운항절차를 시행하고 있으며, 공항주변 소음대책사업과 소음부담금 등을 통해 소음저감 정책을 추진 중이다. 또한 제주 제2공항(제주 신공항) 및 영남권 신공항(김해 신공항) 건설에 주요 이슈인 항공기 소음 문제 해결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항소음 정책과 관련하여 한국의 김포, 김해, 제주국제공항과 유사한 운항편수를 보이는 30개의 국내‧외 주요공항에서 운용 중인 소음저감 정책을 AIP AD(AeroDrome)의 Noise Abatement Procedures에 명시된 자료를 활용하여 소음저감 정책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의 항공소음과 관련된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Ⅱ. 본 론

2.1 분석 대상공항의 선정

소음의 특성상 대형이거나 중량이 무거운 항공기 일수록 많은 동력이 요구되므로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되며, 많은 운항 횟수를 갖는 공항의 경우 소음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인천국제공항과 같이 운항횟수, 이용객 등 상위권에 있는 허브공항은 장거리 운항이 가능한 대형항공기를 많이 사용하는 반면, 김포, 김해, 제주공항의 경우 중‧단거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특정국가의 메인허브 공항을 제외한 기타 공항은 비슷한 운항 패턴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화물기, 여객기를 포함한 연간 운항횟수를 통해 소음발생 빈도가 비슷한 공항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에 ACI1)에서 발간한 「Annual World Airport Traffic Report 2017」가운데 ‘World Airport Ranking: Total Aircraft Movements(2016)’ 공항별 운항횟수를 기준으로 김포, 제주, 김해공항의 운항횟수를 기준으로 ± 10,000회까지 공항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2 국내 대상공항과 비교공항 선정
2.2.1 김포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은(Gimpo International Airport, IATA: GMP, ICAO: RKSS)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58년 개항 당시 행정구역이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 송정리였기 때문에 ‘김포국제공항’이라 명명되었으며, 1963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다. 2000년까지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공항이었으나, 2001년 3월 29일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에 국제선 운항을 이곳으로 이관하고 국내선만 취항하였으나, 공항 용량에 비하여 취항수가 지나치게 낮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2003년에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과의 국제선 기능을 부활하여, 현재는 일본, 중국 등 인근 아시아 노선을 운항 중에 있다. 2본의 활주로(3,600m / 3,200m 14L/32R)를 운영하여 2016년 163,676회의 운항횟수2)를 기록하였으며, 소음저감 정책 및 저소음 운항절차로 NADP3) 1을 사용하고, 23시부터 익일 06시까지 야간비행을 금지하는 Curfew time 적용과 Delayed flap setting(FAF4) 이후 착륙 flap 사용) 및 Run up check 제한(2300-0600)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수도권 P-73 VFR경로는 1,500ft 이상으로 비행하고 3시간 단위로 사용활주로를 변경하고 있으며, 85.9db(A)이라는 자체적 소음기준을 적용하고 모니터링5)하여 위반항공기에 대한 소음부담금을 2배로 징수하고 있다. 표 1은 국내 대상공항의 소음관련 정책을 정리한 내용이다[1][4][9].

Table 1. Noise Reduction Policies at Airports in South Korea
구분 김포공항 제주공항 김해공항
소음 저감 방안 -야간비행시간제한(CURFEW)
-NADP1
-Delayed flap setting
-이착륙활주로운영
-Run up check 제한
-NADP1
-Delayed flap setting
-Visual approach RWY07
-이착륙활주로운영
-야간비행시간제한
-NADP1
-Delayed flap setting
-이착륙활주로운영
고시현황 서울지방항공청 고시
제2016-71호
“김포국제공항 항공기 저소음 운항절차”
제주지방항공청 고시
제2015-1호
“제주국제공항 저소음운항절차”
부산지방항공청 고시
제2013–3호
“김해국제공항 항공기 저소음 운항절차”
Download Excel Table
Table 2. Airports similar to Gimpo Airport
ACI 순위 공항 이름, 국가 운항 횟수 구분
131 Abu Dhabi, UAE 172,069 아시아
132 Cancun, Mexico 171,979 미주
133 Helsinki, Finland 168,904 유럽
134 QingDao, China 168,537 아시아
135 Changsha, China 167,910 아시아
136 Naha, Japan 165,780 아시아
137 Milan, Italy 164,683 유럽
138 Auckland,New Zealand 164,665 오세아니아
139 SanAntonio TX, USA 164,211 미주
140 Gimpo, Korea 163,676 아시아
141 Urumchi, China 162,265 아시아
142 Indianapolis IN, USA 162,211 미주
143 Hamburg,Germany 160,642 유럽
144 LasVegas NV, USA 159,425 미주
145 Guadalajara,Mexico 158,985 미주
146 Louisville KY, United States 156,200 미주
147 Warsaw, Poland 155,934 유럽
148 Cairo, Egypt 154,760 아프리카
134 QingDao, China 168,537 아시아
135 Changsha, China 167,910 아시아
Download Excel Table

김포공항은 2016년 ACI 운항 순위 140위를 기록하였으며, 총 운항횟수는 163,676회로 1일 평균 약 448회, 시간당 약26회(06시~23시 운항) 정도 운항하고 있으며, 이는 2분 20초에 1대씩 이륙 혹은 착륙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으며, 김포공항과 운항횟수 ±10,000회 이하인 공항은 미주 6개, 아시아 5개, 유럽 4개, 아프리카 1개, 오세아니아 지역 1개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2.2 제주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Jeju International Airport, IATA: CJU, ICAO: RKPC)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2동, 도두동 일대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58년 1월에 제주비행장으로 정식 설립되었다. 이용 여객수와 항공기 운항 편수 모두 인천국제공항에 이어 대한민국 2위의 공항으로, 국내선 1위이고, 국제선은 인천, 김해, 김포에 이어 4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공항이다. 3,180m (07/25)와 1,900m(13/31)의 활주로 2본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6년 176,017회의 운항했으며, 시행중인 소음저감 정책 및 저소음 운항절차는 김포공항과 동일한 NADP 1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Delayed flap setting(FAF 이후 착륙 flap 사용), 역추진 사용 제한 및 Run up check를 제한하고 있으며, 07 방향으로 착륙 시 Visual approach를 실시하고 있으며, 소음기준은 85.9db(A)를 적용하고 있다[4][9].6)

제주공항은 2016년 ACI 운항 순위 129위를 기록하였으며, 총 운항횟수는 176,017회로 1일 평균 약482회, 시간당 20여회를 운항하고 있으며, 이는 3분에 1대씩 이륙 혹은 착륙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으며, 제주공항과 운항횟수 ±10,000회 이하인 곳은 아시아 10개, 유럽 5개, 미주지역 4개로 조사되었다.

Table 3. Airports similar to Jeju Airport
ACI 순위 공항 이름, 국가 운항 횟수 구분
116 Berlin, Germany 185,500 유럽
117 Xiamen, China 183,544 아시아
118 Lisbon, Portugal 182,927 유럽
119 London, United Kingdom 180,430 유럽
120 Zhengzhou, China 178,054 아시아
121 Teterboro NJ, United States 177,606 미주
122 Osaka, Japan 177,109 아시아
123 Nice, France 176,931 유럽
124 Brasilia, Brazil 176,868 미주
125 Lima,Peru 176,865 미주
126 Bangalore, India 176,845 아시아
127 Luoyang, China 176,630 아시아
128 Fukuoka, Japan 176,170 아시아
129 Jeju, Korea 176,017 아시아
130 Wuhan, China 175,669 아시아
131 Abu Dhabi, United Arab Emirates 172,069 아시아
132 Cancun, Mexico 171,979 미주
133 Helsinki, Finland 168,904 유럽
134 QingDao, China 168,537 아시아
135 Changsha, China 167,910 아시아
Download Excel Table
2.2.3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ATA: PUS, ICAO: RKPK)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에 있는 군-민 공용의 국제공항이다.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주둔하고 있으며,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인 에어부산이 김해국제공항을 허브공항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용객 기준으로 인천, 제주, 김포에 이은 4위의 공항으로, 2014년에 이용객 수가 1천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인천국제공항 다음으로 국제선 이용객이 많은 공항으로, 2017년 기준으로 전체 이용객 1,640만 명 가운데 56.3%인 924만1천 명이 국제선 이용객이다. 김해국제공항 국제선은 일본, 중국,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 주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2016년 운항횟수는 102,233회이며, 소음저감 정책 및 저소음운항절차는 NADP 1을 적용하며, Curfew time을 통한 야간비행(0600- 2300)금지와 Delayed flap setting 및 Reduced Flap Setting, 18L/R을 이용한 이착륙 시 소음회피를 위한 선회와 소음저감을 위해 36L 이착륙, 18L/R 활주로 교차 이착륙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Run up check 및 엔진역추진 제한(2100-0700)하고 있으며, 85.9db(A) / 82.1db(A)7)의 소음기준을 적용하고 있다[4][9].8) 김해공항은 2016년 ACI 운항 순위 238위를 기록하였으며, 총 운항횟수는 102,233회로 1일 평균 약 280회, 시간당 약12회 정도 운항하고 있으며, 이는 5분에 1대씩 이륙 혹은 착륙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으며, 김해공항과 운항횟수 ±10,000회 이하로 차이를 보이는 곳은 미주 32개, 유럽 13개, 아시아 12개, 오세아니아 5개, 아프리카 4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Airports similar to Gimhae Airport in the number of movements
ACI 순위 공항 이름, 국가 운항횟 수 구분
215 Myrtle Beach SC, USA 112,224 미주
216 Gran Canaria, Spain 111,996 유럽
217 Sacramento CA, USA 111,187 미주
218 Toussus-le-Noble, France 110,862 유럽
219 Winnipeg MB,Canada 110,638 미주
220 Orlando FL, United States 109,886 미주
221 Pensacola FL, USA 109,483 미주
222 FortMyers FL, United States 108,727 미주
223 Nairobi, Kenya 108,563 아프리카
224 Bucharest, Romania 108,285 유럽
225 Milan, Italy 107,572 유럽
226 Lyon, France 107,566 유럽
227 Charleston SC, USA 107,102 미주
228 FortWorth TX, United States 106,563 미주
229 Rio De Janeiro, Brazil 105,671 미주
230 Ankara, Turkey 105,610 유럽
231 Cairns, Australia 105,440 오세아니아
232 TulsaOK, United States 105,024 미주
233 Kuwait 104,175 아시아
234 Sarasota FL, United States 103,497 미주
235 Muscat, Oman 103,434 아시아
236 Adelaide, Australia 102,581 오세아니아
237 Houston TX, United States 102,569 미주
238 Gimhae, Korea 102,233 아시아
239 Nagoya, Japan 101,720 아시아
240 Bahrain, Bahrain 101,345 아시아
241 Ujung Pandang, Indonesia 100,851 아시아
242 Jinan, China( 100,152 아시아
243 Santa Barbara CA, USA 100,129 미주
244 Cape Town, South Africa 99,981 아프리카
245 Sacramento CA, USA 99,920 미주
246 Maroochydore, Australia 99,829 오세아니아
247 Belo Horizonte, Brazil 99,424 미주
248 San Luis Obispo CA, USA 99,217 미주
249 Kathmandu, Nepal 99,029 아시아
250 Phuket, Thailand 98,904 아시아
251 Aberdeen, United Kingdom 98,365 유럽
252 Glasgow, United Kingdom 98,268 유럽
253 Fuzhou, China 97,606 아시아
254 Buffalo, NY, United States 97,605 미주
255 Christchurch, New Zealand 97,265 오세아니아
256 Caracas, Venezuela 96,880 미주
257 Berlin, Germany 96,558 유럽
258 Little Rock, AR, USA 96,284 미주
259 Omaha NE, United States 96,257 미주
260 Knoxville TN, United States 96,214 미주
261 Budapest, Hungary 96,141 유럽
262 Melbourne FL, USA 96,065 미주
263 Jacksonville FL, USA 96,055 미주
264 San Juan, Puerto Rico 95,987 미주
265 Nairobi, Kenya 95,981 아프리카
266 Wuzhou, China 95,876 아시아
267 Basel, Switzerland 95,542 유럽
268 Yuma AZ, United States 95,434 미주
269 Toulouse, France 95,195 유럽
270 Naples FL, United States 95,050 미주
271 Hartford CT, United States 94,842 미주
272 Wellington, New Zealand 94,814 오세아니아
273 Richmond VA, United States 94,722 미주
274 Birmingham AL, USA 94,651 미주
Download Excel Table
2.3 소음저감 정책의 비교기준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운항 및 절차 10개 항목, 지상소음 관리 4개 항목, 소음피해 감소 3개 항목, 공항운영 3개 항목 등 총 23개 항목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항공기 운항 및 절차 10개 항목은 NADP 1 / NADP 2(항공기 이륙 중 Noise Abatement Departure Procedure #1 / #2 적용 여부), CDA(항공기 착륙 중 Continuous Descent Approach 적용 여부, CDO(항공기 착륙 중 Continuous Descent Operations 적용 여부), 회랑 통과(항공기 소음 저감을 위해 특정 지점을 통과하거나 corridor를 통과하는 별도의 절차 설정 여부), Steepest Climb Procedure(항공기 이륙 중 Steepest Climb Procedure 적용 여부), 빠른 고도 상승(이륙 직후 고도 급상승 또는 최대 출력을 사용하여 해당 지역의 이탈을 명시한 경우), VFR 제한(공항 접근 시 Visual Flight Rules 비행을 금지하거나 ILS만 사용해서 접근하는 경우 또는 Visual Approach를 제한하는 경우), Delayed flap(이륙 및 착륙 중 Delayed flap이나 reduce flap을 사용하거나 flap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 별도 운항 절차(기타 AIP AD Noise Abatement Procedures 상에 공항의 특성을 반영하여 NADP 절차가 아닌 별도의 운항 및 절차가 명시되어 있는 경우)로 구분하였다[2][3].

지상소음 관리 4개 항목은 engine reverse(착륙 중 엔진 역추진 사용 금지), 활주로 변경(이착륙 활주로를 특정 시간단위로 변경), Run up check(이륙 전 항공기 점검을 위한 엔진가동 및 Run up check를 금지하거나, 특정 장소에서만 가능하게 규정하는 경우), APU(APU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 운영으로 구분하였다.

Table 5. Noise Reduction Policy
구 분 항 목 번호
항공기 운항 및 절차 NADP 1 1-1
NADP 2 1-2
CDA 1-3
CDO 1-4
회랑 통과 1-5
별도운항절차 1-6
Steepest Climb Procedure 1-7
빠른 고도 상승 1-8
VFR 제한 1-9
Delayed flap 1-10
지상소음 관리 engine reverse 2-1
활주로변경 2-2
Runup check 2-3
APU 2-4
소음피해 감소 소음 민감지역 3-1
소음 기준 3-2
소음 모니터링 3-3
공항운영 운항횟수 제한 4-1
운항 제한 4-2
CURFEW 4-3
Download Excel Table

소음피해 감소 3개 항목은 소음민감 지역(정보나 그림을 통해 소음 민감 지역 표시 혹은 안내), 소음기준(이륙 및 착륙 중 발생하는 소음 기준을 수립 및 공지), 소음모니터링(자동소음측정망 설치 위치 정보 제공)하는 경우로 구분하였고, 공항 운영 3개 항목은 운항횟수 제한(하루 / 야간 / 시간 등 특정 시간동안 운항하는 항공기 횟수를 소음감소를 위해 제한하는 경우), 운항제한(특정 항공기의 운항을 금지), Curfew time(24시간 운영하는 공항이 아니고, 야간에 항공기 입출항을 금지하는 경우)로 구분하였다[6].

2.4 대륙별 소음저감 정책 분석
2.4.1 유럽 공항의 소음저감 정책

유럽 국가들 가운데 프랑스, 영국, 포르투갈, 독일, 이탈리아, 스웨덴, 스코틀랜드, 터키 8개 국가의 11개 공항의 소음저감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소음저감정책을 전혀 실시하지 않는 2개 공항을 제외한 9개 공항은 평균 4.8개의 소음저감 정책을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engine reverse 제한은 8개 공항에서 실시하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정책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항공기 운항 및 절차와 관련하여 NADP를 적용하고 있는 공항은 4곳, 별도의 소음저감 운영절차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공항은 5곳으로 분석되었다. 공항별로 스웨덴 Helsinki-Vantaa Airport가 분석대상 11개 공항 가운데 가장 많은 8개의 소음저감정책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프랑스 LYON SAINT EXUPERY Airport가 7개의 소음저감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반면 터키의 Esenboğa International Airport와 독일의 Berlin Tegel Airport는 소음저감 정책을 전혀 시행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타 대륙과 비교했을 때 유럽에서 많은 정책들을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었다. 즉, 이들 국가들이 지상소음 관리와 관련된 정책이 많은 반면 유럽은 지상소음 관리와 항공기 운항 및 절차 관련 정책도 병행하여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Table 6. Noise reduction policy in European countries [[13]][14][15][17][21][22][23][3][31]
기본정보 1. 항공기 운항 및 절차
AIRPORT 국가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Nice Cote d'Azur Airport 프랑스 O
LYON SAINT EXUPERY Airport O O O
London Stansted Airport 영국 O O O
Aberdeen International Airport O O
Lisbon Airport 포르투갈
Berlin Tegel Airport 독일
Hamburg Airport O O
Milan Malpensa Airport 이탈리아  
Helsinki-Vantaa Airport 스웨덴 O O O O
Glasgow Airport 스코틀랜드 O
Esenboğa International Airport 터키
기본정보 2. 지상소음관리 3. 소음피해감소 4. 공항운영
AIRPORT 국가 2-1 2-2 2-3 2-4 3-1 3-2 3-3 4-1 4-2 4-3
Nice Cote d'Azur Airport 프랑스 O O O O
LYON SAINT EXUPERY Airport O O O O
London Stansted Airport 영국 O O O
Aberdeen International Airport O
Lisbon Airport 포르투갈 O O O O
Berlin Tegel Airport 독일
Hamburg Airport O O
Milan Malpensa Airport 이탈리아 O O O
Helsinki-Vantaa Airport 스웨덴 O O O O
Glasgow Airport 스코틀랜드 O O
Esenboğa International Airport 터키 O
Download Excel Table Download Excel Table
2.4.1 아시아 공항의 소음저감 정책

아시아 지역의 경우 대한민국, 인도, 일본, 아랍에미리트, 오만, 바레인 7개 국가의 11개 공항의 소음저감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소음저감 정책을 전혀 실시하고 있지 않은 4개 공항을 제외한 7개 공항은 평균 5.4개의 소음저감 정책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우리나라를 제외할 경우 4개 공항에서 3.5개의 정책을 시행 중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Delayed flap 사용과 유럽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engine reverse를 제한하는 공항은 각각 5개로 분석되었다. 아시아지역 공항의 경우 지상소음관리 부분에 대한 정책을 많이 펴고 있었으며, 공항운영 제한과 관련한 부분은 야간비행금지를 제외하고는 거의 실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공항을 제외하고 일본의 Osaka International Airport가 가장 많은 5개의 소음저감 정책을 시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도의 Bengaluru International Airport, 아랍에미리트의 Abu Dhabi International Airport, 오만의 Muscat International Airport와 일본 Naha Airport 공항은 소음저감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많은 소음저감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2.4.1 미주/오세아니아 공항의 소음저감 정책

미주 지역은 2개 국가(미국, 브라질)에 4개 공항, 오세아니아(뉴질랜드)지역에서는 1개국 1개 공항의 소음저감 정책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2개 공항에서 총 5개의 소음저감 정책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브라질 및 뉴질랜드는 소음저감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7. Noise reduction policy in Asia [10][11][12][16][18][19][27][32][33]
기본정보 1. 항공기 운항 및 절차
AIRPORT 국가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Jeju International Airport 한국 O O
Gimpo International Airport, O O O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O O O
Bengaluru International Airport 인도
Fukuoka Airport 일본 O O
Naha Airport
Osaka International Airport O O O
Chubu Centrair International Airport O O O
Abu Dhabi International Airport 아랍에미리트
Muscat International Airport 오만
ahrain International Airport 바레인
기본정보 2. 지상소음관리 3. 소음피해감소 4. 공항운영
AIRPORT 국가 2-1 2-2 2-3 2-4 3-1 3-2 3-3 4-1 4-2 4-3
Jeju International Airport 대한민국 O O O O
Gimpo International Airport, O O O O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O O O O O
Bengaluru International Airport 인도
Fukuoka Airport 일본 O O
Naha Airport
Osaka International Airport O O
Chubu Centrair International Airport
Abu Dhabi International Airport 아랍에미리트
Muscat International Airport 오만
ahrain International Airport 바레인 O O
Download Excel Table Download Excel Table
Table 8. Noise reduction policy in Oceania and America[26][28][20][29]
기본정보 1. 항공기운항 및 절차
AIRPORT 국가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Brasilia International Airport 브라질
RioDeJaneiro Santos Dumont Airport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뉴질랜드
San Antonio International Airport 미국 O
Sacramento International airport O
기본정보 2. 지상소음관리 3. 소음피해감소 4. 공항운영
AIRPORT 국가 2-1 2-2 2-3 2-4 3-1 3-2 3-3 4-1 4-2 4-3
Brasilia International Airport 브라질
RioDeJaneiro Santos Dumont Airport
Auckland International Airport 뉴질랜드
San Antonio International Airport 미국 O O
Sacramento International airport O
Download Excel Table Download Excel Table

특히, 미국공항은 2011년 이전까지는 ICAO의 저소음운항절차를 고수하였으나, 소음저감 항공기 엔진 개발 및 성능개선과 정밀항법장비의 개발로 이후부터는 저소음 운항절차를 발간하지 않으며, 현재 RNAV(RNP) 절차가 기존의 재래식절차를 대체하고 있기 때문에 공항 주변의 소음민감지역에 대한 정보만 제공하고 있다[5].

2.5 분석결과 종합

분석결과 유럽지역의 경우 11개 공항에서 항공기 운항 및 절차, 지상소음관리 관련정책 부분에서 평균 1.5개, 소음피해 감소 관련 정책은 0.1개, 공항운영 관련 정책은 0.5개를 시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시아지역은 총 11개 공항에서 항공기 운항 및 절차 관련 1.5개, 지상소음관리 1.2개, 소음피해 감소 0.1.개, 공항 운영관련 정책 0.5개를 시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오세아니아 1개 공항 및 미주 5개 공항에서는 항공기 운항절차 0.2개, 지상소음 관리 0.3개 소음피해감소와 공항운영은 0개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럽, 아시아는 항공기 운항절차에 관한 정책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지상소음관리, 공항 운영, 소음피해 감소의 순으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미주는 지상소음관리, 항공기 운항 절차 관리 순으로 분석되었다.

Table 9. Result of noise reduction policy analysis
구분 항공기 운항절차 지상 소음관리 소음 피해감소 공항운영
합계 평균 합계 평균 합계 평균 합계 평균
유럽 16 1.5 16 1.5 5 0.1 7 0.5
아시아 16 1.5 13 1.2 6 0.1 3 0.5
미주 2 0.2 3 0.3 0.0 0.0
한국 8 2.7 7 2.3 6 2 0.0
Download Excel Table

Ⅲ. 결 론

본 연구는 항공기 소음 관련 정책을 비교함으로써 향후 정책방향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연구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운항횟수 면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 김포, 제주, 김해공항을 선정하고 이와 유사한 운항횟수의 규모를 갖는 유럽, 아시아, 미주지역의 공항들 유사한 규모의 공항을 선정하고 이들 공항의 소음저감 정책 대안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럽의 국가들은 소음 저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법들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공항 특성에 부합하는 소음지역 회피 또는 운항절차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미국의 경우는 대부분 공항에서 소음 민감 지역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등 소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항공운송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아시아지역의 일부 국가들과 중남미지역 국가들은 항공기 소음 절감을 위한 별다른 대안을 제시하지 않는 국가들도 다수 나타났다.

유사한 운항횟수를 보이는 타 국가와 비교에서 한국의 경우 소음감소 대안은 주로 간단한 시설 개선과 검토로 바로 적용 가능한 방안들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항공기 소음저감을 위한 운항 및 절차 개선(NADP2, CDA, CDO, 회랑통과, Steepest Climb Procedure, 빠른 고도 상승, VFR 제한)은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절차 개선의 경우 공항의 특성과 운항하는 항공기의 성능 등 오랜 시간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이를 위한 지속적인 검토와 적용이 요구된다.

그러나 2006년도에 김포국제공항에 대한 저소음운항절차가 수립 된 이후 세부내용에 대한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는 12년의 시간이 경과한 현재 공항운영 여건, 항공기 성능 등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으므로 이를 적용하는 운항절차를 포함한 다양한 소음 저감을 위한 연구가 빠른 시일 내에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항공기 소음 저감 정책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은 소음문제로 난항을 격고 있는 김해공항의 확장 사업과 제주 2공항 신설을 포함한 국민들의 항공기 소음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안전하고 쾌적한 항공운송산업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1) 국제공항협의회 : 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2) 국제공항협의회 ‘World Airport Ranking : Total Aircraft Movements(2016)’ 공항별 운항횟수 기준

3) Noise Abatement Departure Procedure

4) Final Approach Fix

5) 소음기준에 대해 AIP에 명시하고 있지 않으며, 별 도의 고시(서울지방항공청 고시 2016-71호)로 명시

6) 소음기준에 대해 AIP에 명시하고 있지 않으며, 별 도의 고시(제주지방항공청 고시 2015-1호)로 명시

7) 항공기 소음인가시 Flyover 소음도 94.7EPNdB(A) 초과 시 85.9db(A), 이하 82.1db(A) 적용

8) 소음기준에 대해 AIP에 명시하고 있지 않으며, 별 도의 고시(서울지방항공청 고시 2013-3호)로 명시

Reference

[1].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Noise Abatement Procedures. 2006. pp, 188-205.

[2].

Woo, J. h.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asurement Points and Correlation of Aircraft Noise Assessment Units. 2014.

[3].

Park, H. K.A Study on Automatic Measurement Netting for Airplane Noise Monitoring. 2007.

[4].

Kim, Y. R. Choi, Y. C. A Study on the Maximum Noise Level of Domestic Airport,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2016 Fall Conference :50-53. 2016.

[5].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Study on Resetting Noise Standard of NADP a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 2016. 137-180.

[6].

Lee, J. H. A Study on Evaluation of Aircraft Noise around Airport using Flight Path Data. 2010.

[7].

Kim, Y. R. Choi, Y. C. Choi, J. Y. Study on Noise Characteristics of Air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9(3): 2018. 7-12.

[8].

Woo, J. H. Kim, H. S. Son, J. W. Park, S. K. 2018. A study on the new proposal of the compensation criteria for noise pollution areas in the vicinity of the airports,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018 Spring Conference : 113-113

[10].

AIP Republic of Korea RKPC AD 2

[11].

Republic of Korea RKSS AD 2

[12].

Republic of Korea RKPK AD 2

[13].

AIP FRANCE AD-2 LFMN

[14].

LPPT AD 2 AIP PORTUGAL

[15].

UNITED KINGDOM AIP AD 2 EGSS

[16].

India AIP AD 2 VOBG

[17].

LUFTFAHRTHANDBUCH DEUTSCHLAND AIP GERMANY AD 2 EDDT

[18].

AIP Japan FUKUOKA Civil Aviation Bureau, Japan RJFF AD 2

[19].

AIP UNITED ARAB EMIRATES AD 2 OMAA

[20].

AIP BRASIL AD 0.6

[21].

LUFTFAHRTHANDBUCH DEUTSCHLAND AIP GERMANY AD 2 EDDH

[22].

AIP Italia AD 2 LIMC 1

[23].

AIP SUOMI / FINLAND EFHK AD 2.1 - 27

[24].

AIP Japan NAHA ROAH AD 2

[25].

AIP Japan OSAKA INTL RJOO AD 2

[26].

AIP New Zealand NZAA AD 2

[27].

AIP Japan NAGOYA RJNA AD 2

[28].

AIP UNITED STATES OF AMERICA

[29].

UNITED KINGDOM AIP AD 2.EGPF

[30].

AIP FRANCE AD-2.LFLL

[31].

AIP TURKEYAD 2 LTAC-14

[32].

AIP OMAN AD 2 OOMS

[33].

AIP BAHRAIN FIR AD 2 OB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