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현장학습 프로그램 인식에 관한 연구

김하영*, 유정화**
Ha Young Kim*, Jung Hwa You**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중부대학교 항공서비스학전공 조교수
**중부대학교 항공서비스학전공 조교수
연락저자 E-mail : hy108h@joongbu.ac.kr, 연락저자 주소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대학로 201

© Copyright 2023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Nov 28, 2023; Revised: Dec 07, 2023; Accepted: Dec 10, 2023

Published Online: Dec 31, 2023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field learning program conducted during their major studies in order to reflect the educational value and academic awareness of the experience of the experiential field learning program. A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a field learning program conducted by the Aviation Service Department of J University,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Chungcheong region.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i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field learning properties,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Additionally, text mining is conducted using ‘Voyant Tools’ to analyze students’ field trip logs regarding field trip learning program activities. I hope that the results will be used as evidence to build an efficient and systematic learning strategy for operating field learning programs.

Keywords: Field Study Program(현장학습 프로그램); Field Study Properties(현장학습 속성); Learning Satisfaction(학습 만족도); Academic Self-Efficacy(학업적 자기효능감);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학업지속의도)

Ⅰ. 서 론

21세기는 정보화·세계화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으며, 교육분야에서는 이러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스스로 찾아 배우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김다정과 전석주, 2014). 더불어 현대의 지식기반사회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한 방안으로 교육현장에서 자기 주도적인 체험학습이 강조되고 있다(이광우와 김수동, 2004). 교육적 측면에서 이러한 경험 및 활동 학습의 중요성에 관하여 '교육을 경험의 재구성'으로 개념화한 존 듀이(Dewey, 1916)를 비롯하여 역사적으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어 왔다.

현장에서의 체험학습의 유형은 자연환경, 지역사회의 기관 및 조직, 시민단체 등의 활동과 같은 사회환경, 스포츠·문화 영역, 직업·진로체험, 일상 생활 중에 필요하거나 발생하는 활동 등을 포함한다(윤철경, 1999). Behrendt and Franklin(2014)은 다양한 영역의 현장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학생들이 학습내용에 대한 개념을 인식하고 이해하게 되어 배경 지식을 증가시키고, 더 높은 수준의 인지전략을 촉진하여 학습성과와 더불어 학생들의 자신감과 내재적 동기를 발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체험형 현장학습은 대학들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학생 중심 교육철학에 기반을 둔 학생 주도의 교육과정으로 설계되고 있다(신의항, 2009).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항공서비스 전공 계열의 경우, 항공산업 및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업무를 기반으로 서비스 및 안전에 관한 이론과 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으며(김하영과 유정화, 2023), 각 교과목별 연계된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현장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학습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항공서비스 관련 교과과정은 체험을 중요시하는 교과과정으로 구성 시 학습효과를 높이고,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문은정과 이기종, 2016), 그 범위는 주로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호텔현장학습, 서비스아카데미 참가, 항공관련 국·내외 기관 방문 등으로 구성된다(홍영식과 서헌, 2015).

한편, 대학교육의 목표는 성공적인 교육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며,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객관적인 지표는 학생의 학업성취 여부라고 할 수 있다(이경희와 김지연, 2014). 이에 대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수업에 대한 집중도와 참여도, 교과 과정에 대한 가치와 흥미, 과제 수행에 대한 인식 등 학업과 연관된 태도 및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여겨진다(고복순과 김영혜, 2011). 정애경 외(2013)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중요 요인이며,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습지속의도도 함께 높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이것은 지식과 수행을 연계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통해 궁극적으로 학업을 안정적으로 이어가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학업을 지속하면 학생은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게 되고, 개인의 직업적 성공을 경험하는 계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전보라와 김정섭, 2015). 또한,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학업중단이 발생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고, 인적자원을 효율적인 활용이 불가하여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소병한과 김재웅, 2015).

따라서, 효과적인 학습운영을 통해 학습자들 긍정적 인식을 유도하고,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학업을 지속하게 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발전에 가능하게 하는 교육분야의 중요한 과제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의 교과목과 연계한 체험형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학업적 가치와 인식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프로그램별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양적 및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항공서비스전공의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전략을 구축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Ⅱ. 이론적 배경

2.1 현장학습 속성

현장학습은 학습의 장소를 일반 강의장 밖으로 옮겨 실질적이고 입체적인 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키고,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의식을 함양하며, 사회적 태도와 관찰 및 분석 능력을 배양하는 학습유형이다(박민규 외, 2006). 즉, 강의장 내에서 학습한 지식을 관련된 공간, 설비, 직무를 실제로 확인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학습내용과 개념을 확장하고 정립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나승일, 1997). 이와 같이 현장학습의 실시는 학습자들에게 학업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게 하고, 사고력을 높임과 더불어 탐구심을 배양하며, 자연스러운 호기심 유발을 통해 학습 의욕을 고취 및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이지연, 2013).

이러한 현장학습이 가지는 본질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그 요소를 학습자의 참여 정도와 주변 학습환경과의 상호관계에 따라 세분화 될 수 있으며, Pine and Gilmore(1998)가 제시한 체험경제 이론의 요소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체험경제 이론은 마케팅 측면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상위 개념으로 체험을 정의하고, 소비자의 참여 정도와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오락적 요소, 일탈적 요소, 심미적 요소, 교육적 요소의 4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있다(박창연과 이충기, 2018). 오락적 요소는 즐거움, 재미 등 기분 좋은 상태에 대한 감각적 요소를 의미한다(박수경 외, 2007). 그리고 심미적 요소는 공간 혹은 설비 등의 환경적 상황에 몰입하여 그 대상에 대한 심미적인 가치와 특성을 느끼는 내적 경험을 말하며(김성태와 이종환, 2012), 일탈적 요소는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환경에 집중하여 일상에서 벗어난 느낌 혹은 해방감을 의미한다(Csikszentmihalyi, 1990). 마지막으로 교육적 요소는 참여자가 무언가 학습했다는 느낌 즉 체험 대상과 관련된 지식이나 기술이 향상되었음을 지각되는 정도이다(송학준과 이충기, 2015).

또한, 한숙영과 엄서호(2005)는 여가체험의 관점에서 문화유적지 체험프로그램의 속성에 대해 참가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구분하고자 하였으며, 즐거움, 일탈적요소, 교육적 요소와 더불어 함께 하는 참여 동반자와의 소통과 교류 즉 동반자와의 어울림을 중요한 요소를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현장학습이 가지는 속성을 즐거움, 동반만족, 일탈감, 교육성으로 구분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2.2 학습 만족도

학습 만족도는 학습 관련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요구가 충족되었는가를 측정하기 위한 주요 지표로 선행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김지심, 2009). 또한, 학습 프로그램 운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학습자의 요구가 잘 반영되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구성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유병민 외, 2013). 이것은 결국 교육 측면의 고객만족으로 간주되며, 고객인 학습자에게 높은 품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해 만족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것으로 학습자들의 기대에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부응되는지에 관한 개념이다(정기수, 2011).

특히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주도적으로 끌어가는 환경에서 학습 만족도는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학습몰입을 유도하거나 학습을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조아라와 노석준, 2013). 또한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업, 학업지속, 개발 등은 학습자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학업성취도와 학습전이 등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주영주 외, 2009). 이와 같이 학습만족도는 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관계를 형성하는 점이 특징적이다(Roca et al., 2006).

학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장재홍과 박인우(2017)는 학습 만족도가 높게 인식하는 학습자일수록 온라인 학습에 더욱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보이는 것과 더불어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강하다고 주장하였다.

김미경(2013)은 학습 만족도의 측정을 위하여 학습참여를 통한 학습목표 성취 정도, 학습프로그램의 내용, 학습 방법, 학습참여 환경, 교강사 태도, 학습동료와 상호작용, 직원서비스 등 교육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학습 프로그램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현장학습의 목표와 학습내용의 적합성, 전공에 대한 학습효과 등의 인식을 연구에 적용하였다.

2.3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 수행과정과 상황에서 학습자가 경험하는 자신감이며, 학업 및 과제 수행을 위한 행동을 계획하고 실행해 나가는 학습자 자신의 능력에 관한 판단이자 조절 능력을 말한다(김아영과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자신의 수준 이상의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하여 추진하는 경향이 있고, 어려운 상황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끝까지 완수하기 위해 노력하는 특징을 가진다(Bandura and Schunk, 1981). 또한, 실제로 많은 경험적 연구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Schunk, 1991), 효능감의 증진은 학습자의 인지에 대한 지식을 통제하고 조절하는데 관련된 전략을 활성화하고 과제집중력을 증가시켜 높은 학습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Pintrich and Garcia, 1991). 즉, 학습자가 자신에 대해 가지는 기대나 신념은 학업 상황에 관련된 다른 동기적, 인지적 특성들과 상호영향을 받으며, 성공적인 학업수행과 성취 수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주희진, 2011).

김아영과 박인영(2001)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로 구분하였는데, 자신감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능력에 대해 나타내는 신념과 확신의 정도로 설명하였다. 자기조절 효능감은 개인이 자기관찰, 자기판단, 자기반응과 같은 자기조절적 심리 속성을 잘 수행하기 위한 효능 기대를 말하며, 과제난이도는 수행 상황에서 목표를 설정할 때 어떤 수준의 과제를 선택할 것인가에 관한 결정과정을 나타낸다(김선희, 2011).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심미정과 오효숙(2012)은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학업적으로 스스로가 해낼 수 있다는 인식과 학습동기가 강하고 자신의 학습방향을 스스로 설정할 수 있을 때 문제해결능력도 향상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김지영 외(2018)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통해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대학생활적응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공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길러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점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학습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전공학습에 대해 내용을 잘 이해하고, 분석하며, 해결하고 성과를 내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믿음으로 간주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2.4 학업지속의도

대학생의 측면에서 학업지속은 재학기간에 의도한 학습 목표를 성취하거나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쳐 졸업에 이를 때까지 대학에 소속을 두고 학습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임상호, 2023). 이에 대해 학업지속의도는현재 소속된 대학기관에서 학기 등록을 통해 학업을 계속해서 유지하고자 하는 학생의 의지 혹은 생각으로 내재적 측면이 강조된다(박지영, 2018). 일반적으로 사람의 행동은 그 행동을 하려는 의도의 결과로 볼 수 있으므로 의도가 행동을 예측하는 지표가 될 수 있는데(Fishbein and Ajzen, 1975), 학업을 이어가기 위한 행동의 실행 여부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 학업지속의도라 할 수 있다(고윤승, 2019). 따라서 학업지속의도는 학생들이 다음에 학업을 계속하기 위한 행동을 예측하는 주요한 지표이다(고윤승, 2023).

학업지속의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oontz (2016)는 대학생이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 등의 긍정적 심리자본을 발휘할수록 학업지속의향과 학업 재등록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강조하였다. 정애경 외(2013)는 대학생의 자기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학생 자신에 대한 주관적인 자기평가와 학업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판단, 진로의 현실적인 탐색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지속을 위한 높은 수준의 의향을 나타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Hurtado et al.(1996)은 개인의 심리적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경우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높아지며, 이를 통해 학업 지속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학업지속의도는 대학생활 적응의 지표이며(최성애와 박주영, 2018), 학업을 지속할 의향이 있는 대학생은 대학 학과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및 유대감 수준이 높아 학업 분위기의 긍정적 전이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측된다(박은주와 이혜경, 2016)

Ⅲ. 연구설계

3.1 항공서비스전공의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 개요

항공서비스전공의 현장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전공 관련 산업과 직무를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전공역량을 강화하고, 현장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항공서비스 전공에서 2022년 하반기부터 2023년 하반기까지 실시한 현장학습 프로그램은 서양식의 이해와 테이블 매너 학습을 위한 <JB 테이블매너 전문가 과정>, 항공산업의 주요기관의 역할과 이해를 위한 <인천국제공항 및 항공박물관 견학>, 항공객실승무원의 직무능력 배양을 위한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진로역량강화를 위한 <항공산업 JOB FAIR> 총 4개로 구성되었으며, 현장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해당기간 개설된 전공교과목과의 연계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현장학습 프로그램별의 학습목표 및 상세 운영 내용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Field study program overview
구분 연계교과목 학습 목표 프로그램 내용
JB 테이블매너 전문가 과정 기내식음료 개론 및 실습 전공관련 학업역량 강화 및 진로의식 제고 • 서양식 정찬의 개념 이해
• 서양식 정찬의 식음 절차 이해 및 체험
• 테이블 매너
인천국제공항 및 국립항공박물관 견학 인공지능과 항공서비스 전공관련 산업에 대한 지식과 진로의식을 배양 • 인천국제공항의 역사/현황/시설 안내
• 체크인 및 보안절차 등 출국절차 안내
• 한국문화거리 및 주기장 관람, 편의시설 등 관람 및 안내
• 항공 및 항공기 관련 역사 안내
• 항공스토리 강연
• 항공기 기종별 특성의 이해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과정 A 항공사 항공객실 서비스론 및 실습 현장실무능력 배양 및 전공분야 진로의식 강화 • 이미지메이킹(유니폼 착용법 및 Hair-do 연출법)
• 퍼스널브랜드(표정, 자세, 서비스마인드)
• 실전대비 이미지 멘토링(개별이미지 코칭 및 피드백)
• 현직승무원과의 대화
B 항공사 • 기내서비스 체험
• 화재대응 실습
• 응급처치 실습
• 기내 비상상황 체험
• 비상탈출 실습 등 실제 승무원이 수행하는 안전 훈련 체험
항공산업 JOB FAIR 항공면접실무 진로준비 역량 강화 및 취업의식 제고 • 국내외 60여 개 항공 관련 기업·기관·지방자치단체의 설명회 및 기업별 상담
• 토크콘서트, 취업특강, 기업탐방 등 구직자 프로그램
Download Excel Table

또한, 이러한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전개 과정을 수립하고, 명확한 지도 내용을 도출하여 정확한 정보 수집을 통해 실행계획이 마련하고자 하였다(이지연, 2013). 따라서, 현장학습이 단순한 관람이 아니라, 교육적 효과를 의도하기 위하여 사전준비과정과 학습, 현장확인 및 평가과정을 고려하여 설계에 적용하였다(김주희, 2007).

첫째, 사전계획 단계는 학생들의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견학 혹은 체험을 위한 현황조사 및 행정적 절차를 수행하였다. 둘째, 사전학습 단계는 실행기관의 자료를 검토하여 학습내용을 설정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특성에 부합하는 연계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위한 학습과정을 진행하였다. 셋째, 현장학습 단계는 학생들의 안전유지를 위하여 해당기관 현장담당자와 환경을 교차확인하고 학습내용을 실행하였다. 또한, 학생 대상으로 자료를 통한 학생 체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보완사항을 수집하여 실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평가 단계는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운영보고서를 작성하고, 참가학생들 대상으로 만족도 평가 및 현장학습에 관한 개인의 학습성찰일지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운영단계는 Table 2와 같이 설정하였다(이지연, 2013).

Table 2. Field study program design process
설계과정 활동 내용
사전계획 교수 현장학습목표 및 주제 설정 현장학습 활동 계획 수립
사전학습 자료 및 학습평가 자료 준비 현장학습 행정절차 준비
사전학습 교수 자료를 통한 현장학습 안내
교과목에 따른 학습연계성 설명
학생 현장학습활동에 따른 체험내용 리뷰
현장학습 교수 학습인원 단위별 현장학습 지도 질의응답에 대한 보완
현장학습안내 절차 및 규칙 안내 (안전 및 주의사항)
현장 담당자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
현장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질의응답
학생 사전학습내용 및 현장학습안내의 교차확인 및 학습이해
학습평가 교수 현장학습결과 내용 정리 및 보고 현장학습 평가 운영
학생 현장학습만족도 조사 참여
현장학습일지 작성 및 제출
Download Excel Table
3.2 변수의 측정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은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문항을 토대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정 및 보완한 내용을 적용하였다. 설문지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체험한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속성(한숙영 외, 2005)을 알아보기 위한 14문항과 학습 만족도(Astin, 1993)의 7문항을 비롯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봉미미 외, 2012)을 측정하기 위한 4문항, 학업지속의도(이명화 외, 2015)를 알아보기 위한 4문항을 포함하여 최종 2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의 척도는 5점 리커트 척도를 적용하였다. 상세한 구성개념에 관한 설명은 Table 3과 같다.

Table 3. Measurement item
구성개념 측정문항 및 조작적 정의
현장학습 프로그램 속성 즐거움 FS1~FS3(3)
현장학습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긍정적인 감정
동반 만족 FS4~FS6(3)
학습참여에 동반한 학생들과의 어울림
이탈감 FS7~FS9(3)
학습환경에서의 스트레스 해소 및 기분전환 정도
교육성 FS10~FS14(5)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적 효과 인식 학습
만족도 PS1~PS7(7)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AS1~PS4(4)
전공 관련 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주관적인 확신
학업지속의도 CI1~CI4(4)
자신의 전공학습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해 나가고자 하는 의향
Download Excel Table
3.3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22~2023학년도 충청지역 4년제 J대학 항공서비스 전공에서 실시한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프로그램에 참여 후 설문에 참여한 재학생은 총 254명이며, 불성실 답변 4부를 제외한 총 250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설문을 바탕으로 SPSS 21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현장학습 프로그램별 각 변수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ANOVA(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현장학습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현장학습일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연 어 처리를 통한 텍스트의 빈도, 구조 등을 분석하는 ‘Voyant Tools’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Ⅳ. 실증분석

4.1 인구통계학적 특성

설문에 관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성별분포를 살펴보면 여성이 183명(73.2%), 남성이 67명(26.8%)으로 항공서비스전공 학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여성의 응답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1학년 102명(40.8%), 2학년 53명(21.2%), 3학년 50명(20.0 %), 4학년 45명(18.0%)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현장학습 프로그램 중 <JB 테이블매너 전문가> 109명(43.6 %), <인천국제공항 및 항공박물관 견학> 74명(29.6%),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50명(20.0%), <힝공산업 JOB FAIR> 17명(6.8%)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경험에 대하여 56명(22.4%)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194명(77.6%)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학생 개별 교과목 이수에 따른 현장학습 운영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4.2 측정항목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측정항목의 타당성 평가를 위해 선행연구를 근거로 설정한 측정 문항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척도 순화과정을 통해 일부 항목을 제거하였다.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인식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속성은 동일한 4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낮은 적재량을 나타내는 1개 항목을 제거하였다. 따라서, 즐거움(0.504∼0.761), 동반만족(0.797∼0.806), 이탈감(0.714 ∼0.797), 교육성(0.567∼0.850)를 나타내며, 동일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학습 만족도는 요인적재량 0.643 ∼0.839의 수치를 나타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AS1을 제거하였으며, 0.649∼0.840의 요인적재량을 나타내며 동일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학업지속의도는 요인적재량 0.764∼0.830의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구성개념의 Cronbach 알파값이 모두 0.7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항목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각 요인에 관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Analysi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구성개념 문항 요인적재량 Cronbach α
현장학습 프로그램 속성 즐거움 3 0.504~0.761 0.896
동반만족 3 0.797~0.806 0.929
이탈감 3 0.714~0.797 0.917
교육성 5 0.567~0.850 0.925
학습 만족도 7 0.643~0.839 0.944
학업적 자기효능감 4 0.649~0.840 0.901
학업지속의도 4 0.764~0.830 0.900
Download Excel Table

Ⅴ. 연구결과

5.1 현장학습 프로그램별 현장학습 속성 차이분석

현장학습 프로그램에 따른 현장학습의 속성의 지각은 동반만족을 제외하고, 즐거움, 이탈감, 교육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즐거움과 교육성의 구성요인은 모두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과정에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즐거움과 이탈감의 구성요인은 <항공산업 JOB FAIR>에서 기장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특히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정인 Scheffe 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장학습 속성의 구성요인 중 즐거움에서 <JB테이블매너전문가> 과정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체험> 과정 집단 간과 <인천국제공항 및 국립항공박물관 견학>과 <항공산업 JOB FAIR>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탈감의 경우에는 <인천국제공항 및 국립항공박물관 견학>, <항공사 객실승무원체험 과정>과 <항공산업 JOB FAIR>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적 측면에 관하여 <JB테이블매너전문가> 과정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체험> 과정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현장학습 프로그램별 현장학습 속성 차이분석 검증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Variance analysis of field study properties
구성요인 구분 N M SD F 사후검증
즐거움 A 74 4.18 .89 10.665*** A〈C D〈B (Scheffe 검증)
B 109 4.61 .56
C 50 4.65 .49
D 17 3.94 .93
동반만족 A 74 4.12 .97 2.117 -
B 109 4.44 .73
C 50 4.34 .89
D 17 4.23 .85
이탈감 A 74 4.27 .91 7.126*** D〈C, B (Scheffe 검증)
B 109 4.64 .55
C 50 4.53 .77
D 17 3.90 .97
교육성 A 74 4.14 .93 5.744** A〈C (Scheffe 검증)
B 109 4.44 .65
C 50 4.66 .49
D 17 4.25 .63

* p<.05,

** p<.01,

*** p<.001.

A: JB테이블매너전문가 과정, B: 인천국제공항 및 국립항공박물관 견학, C: 항공사객실승무원체험 과정, D: 항공산업 JOB FAIR.

Download Excel Table
5.2 현장학습 프로그램별 학습 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도 차이분석

현장학습 프로그램에 따른 학습 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지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업지속의도의 구성요인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프로그램 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은 모두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과정에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학습 만족도는 <항공산업 JOB FAIR>의 집단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JB테이블매너전문가> 과정에서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사후검정 결과, 학습 만족도는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과정>과 <JB테이블매너전문가 과정>, <항공산업 JOB FAIR>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JB테이블매너전문가 과정>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체험 과정>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현장학습 프로그램별 각 구성개념의 차이분석 검증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 Variance analysis of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구성요인 구분 N M SD F 사후검증
학습 만족도 A 74 4.33 .77 5.654** A, D〈C (Scheffe 검증)
B 109 4.54 .59
C 50 4.77 .38
D 17 4.29 .77
학업적 자기효능감 A 74 4.19 .86 4.242** A〈C (Scheffe 검증)
B 109 4.48 .62
C 50 4.59 .52
D 17 4.23 .71
학업지속 의도 A 74 4.38 .74 1.339 -
B 109 4.53 .57
C 50 4.58 .53
D 17 4.54 .51

* p<.05,

** p<.01,

*** p<.001.

A: JB테이블매너전문가 과정, B: 인천국제공항 및 국립항공박물관 견학, C: 항공사 객실승무원체험 과정, D: 항공산업 JOB FAIR.

Download Excel Table
5.3 현장학습일지를 통한 인식 분석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참여를 통해 학생 개인별 소감과 학습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프로그램별 10%에 해당하는 학생을 무작위 선정하여 현장학습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현장학습일지의 문항은 참가동기, 프로그램을 통해 배운 점, 전공학습과 역량개발과의 연계성, 참가를 통해 느낀 좋은 점과 아쉬운 점,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먼저 <JB테이블매너전문가> 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많이 사용한 단어는 ‘테이블매너’, ‘서비스’, ‘프로그램’ 이나 프로그램명에 해당하여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 외 ‘경험’, ‘학습’, ‘코스’, ‘기회’, ‘시간’, ‘식기’, ‘사용법’ 등의 단어의 빈도가 다수였으며, 이것은 해당 현장학습의 목적인 서양식 경험을 통하여 코스별 식사를 이해하고, 서양식을 위한 다양한 식기류와 사용법을 배우는 점이 학생들에게 인상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호텔의 표준 서양식에 대한 경험의 기회는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학습인식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음식과 와인을 곁들이는 서양식을 식음해봄으로써 서양의 문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음. 기내에도 서양식이 탑재되는데 금번 학습을 통해 다음 학기 기내식 관련 교과목을 위한 사전학습이 가능하여 좋았음”.

<인천국제공항 및 국립항공박물관 견학>의 경우, ‘항공기’, ‘공항’, ‘항공, ‘박물관’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그 외 유의미한 단어로는 ‘시설’, ‘시스템’, ‘역사’, ‘정보’, ‘기회’, ‘학습’, ‘역량’ 등이 있으며, 교과목 학습을 통해 이론적으로 접했던 공항시설과 시스템에 관한 이해와 항공박물관에 전시된 실물 항공기를 통해 역사를 배울 수 있는 기회로 인해 스스로의 학습이 가능하였고 이로 인한 역량강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객실승무원이라면 알아야 할 공항의 시설들과 출국 및 입국 수속 절차에 관해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음”.

“항공기의 안에 내부구조를 자세하게 관찰하고, 이에 관한 지식들을 습득할 수 있었음. 이러한 부분이 나의 전공학습과 역량개발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함”.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과정을 분석한 결과, 직접적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승무원’, ‘항공사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실제’, ‘업무현장’, ‘훈련’, ‘이야기’, ‘경험’, ‘기초’, ‘상황’, 동기부여’, ‘면접’, ‘서비스’, ‘꿈’ 등이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이것은 실제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일하는 업무환경과 유사한 서비스 및 안전훈련을 경험하여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평소 동경하던 현직 객실승무원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한 동기부여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현장학습을 통해서 정말 큰 나의 인생의 동기부여를 얻게 되었음. 평소 승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해서 장래희망이라는 말을 하고 항상 동경해 왔지만, 더욱 항공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정말로 이곳에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음”.

마지막으로 <항공산업 JOB FAIR> 과정의 경우, ‘정보’, ‘시간’, ‘항공사’, ‘취업’, ‘면접’, 면접관’, ‘자신’, ‘역량’, ‘계획’, ‘추후’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항공산업 채용박람회에 참여한 각 항공사 및 항공관련 회사의 담당자로부터 직접적인 채용정보를 확인하고, 면접멘토링 프로그램을 참여하며 향후 취업을 위한 자신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진술하였다.

“항공사의 인사팀과의 만남을 통해 정확한 향후 채용 정보와 항공 산업 트렌드 등을 파악하게 되었고, 알게 된 정보를 토대로 추후 취업 계획 및 역량 개발에 적극 활용하고자 함”.

위와 같이 현장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제출한 현장학습일지의 내용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분석하여 시각화한 내용은 Fig. 1과 같다.

jksaa-31-4-90-g1
Fig. 1. Results of text mining
Download Original Figure

Ⅵ. 결 론

본 연구는 체험형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학업인식을 반영하고, 항공서비스학전공 학생들의 전공학습능력의 향상과 학습몰입을 위한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을 위하여 전공학습과정에 실시한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경험에 따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학습에 따른 현장학습 속성, 학습 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자신의 참여활동 과정을 스스로 평가하기 위해 작성한 ‘현장학습일지’를 통해 학습촉진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한 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학습의 속성인 즐거움, 동반만족, 일탈감, 교육성에서 <JB 테이블매너 전문가> 과정, <인천국제공항 및 항공박물관 견학>,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항공산업 JOB FAIR> 프로그램 간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동반만족을 제외한 현장학습의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과정은 즐거움과 교육성 측면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직접적인 진로와 관련된 직무를 통해 감정적인 놀라움, 재미, 집중도 등이 발현되고, 객실승무원 진로를 위한 직접적인 정보 획득이나 지식의 능률을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JB 테이블매너 전문가 과정>은 교욱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이론적인 학습과정보다 직접적인 식음에 대한 기대와 관심으로 학습적 가치가 감소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인천국제공항 및 항공박물관 견학> 과정은 평소 경험하지 못한 공항과 박물관이 가지는 공간적 요소에 대해 일반적인 학습 현실을 벗어난 환경적 해방감이 작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에 전체적으로 동반만족의 요소에서 프로그램 별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한 것은 항공서비스전공 학습과정의 특성상 학년별 전공이수의 패턴이 유사하며, 다양한 학과 행사를 통해 빈번한 교류와 소통이 가능하므로 현장학습 과정 중 별도의 사교적 어울림을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학습 프로그램에 따른 학습 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지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반면에 학업지속의도는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과정은 학습 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지각에 대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객실승무원의 주요한 요소인 서비스와 안전 직무, 이미지메이킹, 실전 멘토링 등의 내용이 학습에 대한 긍적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직접적인 진로와 관련된 직무의 경험은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내재적 동기 부여를 가능하게 하고, 학업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와 신념을 고취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학업지속의도의 구성개념에서 프로그램 별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하였는데, 장한별(2023)은 대학적응, 전공만족 등은 학업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이긴 하나,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과정, 교육인프라, 교육서비스와 더불어 실질적인 학생들의 취업과 연계된 효용을 지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학업지속의도를 인식하기 위해서 현장학습프그램의 운영과 같은 단편적인 학습방법의 평가를 통해 분석에 적용하기엔 한계가 있음을 반증하는 결과이다.

셋째, 현장학습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신의 학습과정을 평가한 현장학습일지의 내용을 추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JB테이블매너전문가> 과정을 분석한 결과, ‘경험’, ‘학습’, ‘코스’, ‘기회’, ‘시간’, ‘식기’, ‘사용법’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현장학습의 목표인 서양식 이론적 접근과 식음 경험을 통하여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호텔의 표준 서양식을 실제로 알아보는 기회가 긍정적인 학습성찰을 가능하게 하였다. <인천국제공항 및 국립항공박물관 견학>의 경우,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단어는 ‘시설’, ‘시스템’, ‘역사’, ‘정보’, ‘기회’, ‘학습’, ‘역량’ 등이 있으며, 교과과정 중 이론적으로 학습했던 공항시설과 시스템을 실제로 확인하고, 실물 항공기를 통해 항공시의 역사와 기술적인 부분을 이해하며, 학습역량이 강화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항공사 객실승무원 체험> 과정을 분석한 결과, ‘실제’, ‘업무현장’, ‘훈련’, ‘이야기’, ‘경험’, ‘기초’, ‘상황’, 동기 부여’, ‘면접’, ‘서비스’, ‘꿈’ 등이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실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서비스 및 안전훈련을 경험하여 직무이해도를 높였고, 진로개발을 위한 동기부여가 된 것에 의미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항공산업 JOB FAIR> 과정의 경우, ‘정보’, ‘시간’, ‘항공사’, ‘취업’, ‘면접’, 면접관’, ‘자신’, ‘역량’, ‘계획’, ‘추후’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고, 직접적인 채용상담과 면접멘토링 프로그램을 참여하며, 진로역량 강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항공서비스학 전공의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교과목에서 학습하는 기본개념과 원리를 적용하고, 구체적인 현장의 경험을 근거로 하는 학습과 체험을 가능하게 하여 결정된 교육적 결과로, 학생 스스로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신의향, 2009).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정문성과 설규주(2008)는 전공학습과 관련하여 다방면에 걸친 지식을 심도 있고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습득하기 위해서는 체험적 학습의 병행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교육적 인식은 전공분야의 실무현장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창의적 탐색을 장려하기 위한 긍정적인 수단으로 판단되나 학습효과성과 학업역량을 근거로 하는 선별된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계획, 구성, 평가의 시스템의 명확한 설계가 요구된다. 학과 특성상 항공관련 직무와 직무환경을 경험하기 위한 체험형 학습과 실습이 다수 운영되고 있으며, 양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제공과 더불어 현장경험을 토대로 실질적인 교육적인 효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한 체계적으로 정립된 평가와 환류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인식된다.

셋째, 일반적인 현장학습 프로그램은 기업 혹은 기관의 주도를 통해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 내용이 기획되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항공, 관광, 경영 등 전공계열의 특성과 2년제와 4년제와 같은 학제기준을 반영하여 학습수준을 고려하고, 전공학습과의 연계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현장학습의 설계과정에서 현장실무진과의 충분한 소통과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실무현장중심의 이론과 직무 습득을 위한 학습과정의 비중이 큰 항공서비스 전공 계열이 운영하는 현장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현장학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다양한 인지적 측면의 분석을 위해 프로그램별 만족, 학업을 위한 동기·인지적 자원, 지속성 차이 검증을 통한 양적 연구와 더불어 현장학습일지를 통한 질적 연구를 동시 분석하여 적용한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일부는 이전에 현장학습의 경험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이 연구결과에 통제되지 못한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장학습 프로그램별 표본이 균등하지 않아 일부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경우 모집단의 대표성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학습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여부와 표본의 크기 비율을 고려한 연구를 통해 더욱 신뢰도 있는 분석결과를 도출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현장학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현장학습 프로그램 인식과 더불어 역량을 기반한 현장학습 효과분석이 함께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를 통해 학습 전·후를 통한 차이 분석 혹은 인과분석을 통한 학습의 영향성을 파악한다면 더욱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가 가능하며, 전공 학습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Kim, D. J., and Jeon, S. J., “Design and application of a virtual learning-based class model for field experiential learning”, Journal of Information Education, 18(1), 2014, pp.133-142.

2.

Lee, K. W., and Kim, S. D., “Exploring the conditions for activating experiential learning to operate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 Research, 16 (2), 2004, pp.133-160.

3.

Dewey, J., “Nationalizi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84(16), 1916, pp.425-428.

4.

Yoon, C. K.,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experiential learning”, Open Education Research, 7(2), 1999, pp.19-35.

5.

Behrendt, M., and Franklin, T., “A review of research on school field trips and their value in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9(3), 2014, pp.235-245.

6.

Sin, U. H., “Implications of the American university education system for the free major system: Focusing on domestic and overseas field studies”, Journal of Liberal Arts Education, 3(1), 2009, pp.61-87.

7.

Kim, H. Y., and Yoo, J. H. 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viation cabin safety learning content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31(2), 2023, pp. 25-37.

8.

Moon, E. J., and Lee, G. J, “The impact of the aviation service curriculum and professor's teaching ability on students' self-esteem”, Hotel and Tourism Research, 18(2), 2016, pp.381-395.

9.

Hong, Y. S., and Seo, H., “A review of community college stud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cusing on aviation service-related departments”,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7(3), 2015, pp.327-338.

10.

Lee, K. H., and Kim, J. 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17(4), 2014, pp.33-57.

11.

Ko, B. S., and Kim, Y. H.,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aturity of career consciousness”, East-West Psychiatry, 14(2), 2011, pp.29-42.

12.

Jeong, A. K., Kim, J. S., and Kim, J. H.,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6(6), 2013, pp.11-18.

13.

Jeon, B. R., and Kim, J. 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Educational Studies (formerly Anam Educational Studies), 21(3), 2015, pp.53-83.

14.

So, B. H., and Kim, J. W., “Analysis of the causes of college dropou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experienc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3(3), 2015, pp.405-426.

15.

Park, M. K., Park, J. H., Bae, Y. K., T., and Lee, T. W.,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u-Learning system for fiel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and Information Society, 11(3), 2006, pp.221-229.

16.

Na, S. I., “Analysis of utilization status and needs of practical education field trips in elementary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Korean Journal of Practical Education, 10(2), 1997, pp.277-292.

17.

Lee, J. Y., “Measures to utiliz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Focusing on case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to reconsider awareness of unification”, Journal of Liberal Arts Education, 7(5), 2013, pp.495-521.

18.

Pine, B. J., and Gilmore, J. H.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Cambridge, MA, USA: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76(4) , 1998, pp.97-105.

19.

Park, C. Y., and Lee, C. K., “The impact of experience factors of DMZ tourism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Focusing on experience economy theory”,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0(7), 2018. pp.57-74.

20.

Park, S. K., Park, J. H., and Cha, T. H., “The impact of experience elements (4Es) on experiential enjoyment, satisfaction, and repeat visits: Focusing on Pine and Gilmore's Experience Economy theory”, Advertising Research, (76), 2007, pp.55-78.

21.

Csikszentmihalyi, M., and Csikzentmihaly,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1990.

22.

Song, H. J., and Lee, C. K., “The impact of temple stay experience on the formation of visitor behavioral intention: Focusing on experience economic theory”, Tourism Research, 30(6), 2015, pp.303-322.

23.

Han, S. Y., and Eom, S. H., “A study on the field experience properties at heritage tourist sites - Focusing on the Suwon Hwaseong temporary palace experience program”, Tourism Research, 20(2), 2005, pp. 55-69.

24.

Kim, J. S., “Ident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in corporate e-learning”, Ph.D.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9.

25.

Yoo, B. M., Park, H. J., and Cha, S. B., “A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the learning effect of college classes using SNS”,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 44(3), 2013, pp.133-159.

26.

Jeong, K. S.,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adult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learning motivation”, Lifelong Education·HRD Research, 7(2), 2011, pp.1-22.

27.

Jo, A. R., and Noh, S. J.,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distance college learner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29(4), 2013, pp.849-879.

28.

Joo, Y. J., Kim, J. Y., and Choi, H. R.,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immers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of corporate cyber traine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25(4), 2009, pp.101-124.

29.

Roca, J. C., Chiu, C. M., and Martínez, F. J., “Understanding e-learning continuance intention: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64(8), 2006, pp.683-696.

30.

Jang, J. H., and Park, I. W.,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interaction,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classes using SNS”, Journal of Educational Issues, 30(3), 2017, pp.1-26.

31.

Kim, M. K., “Research on learning and life satisfac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national universities”, M.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2013.

32.

Kim, A. Y., and Park, I. Y.,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Education, 39(1), 2001, pp.95-123.

33.

Bandura, A., and Schunk, D. H.,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3), 1981, p.586.

34.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3-4), 1991, pp.207-231.

35.

Pintrich, P. R., and Garcia, T., “Stud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s and Self-Regulatory Processes, 7, 1991, pp.371-402.

36.

Joo, H. J.,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11(2), 2011, pp. 237-259.

37.

Kim, A. Y., and Park, I. Y.,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Education, 39(1), 2001, pp.95-123.

38.

Kim, S. H., “The impact of math classes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M.S. Thesis, Korea University, July 2011.

39.

Shim, M. J., and Oh, H. S.,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n problem-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6), 2012, pp.328-337.

40.

Kim, J. Y., Kim, E. J., and Kim, J. 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mmunity college students”, Thought Development, 14(1), 2018, pp.53-73.

41.

Im, S. H.,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academic continuation intention and motivation for learning particip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self-efficacy, learning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learners a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August 2023.

42.

Park, J. Y.,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among early-employed and later-graduate college students”, Ph.D. Thesis, Chung-Ang University, August 2018.

43.

Fishbein, A., and Ajzen, I.,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44.

Go, Y. 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of middle-aged people and their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in the era of convergence”, Korea Science and Arts Convergence Society, 37(1), 2019, pp.1-12.

45.

Go, Y. S.,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college students’ mindset, grit,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E-Business Research, 24(1), 2023, pp.153-169.

46.

Koontz, R., “Psychological capital as a predictor of student performance and persistence: An exploratory study”, Ph.D. Thesis, Anderson University, 2016.

47.

Jeong, A. K., Kim, J. S., and Kim, J. H. Y.,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6(6), 2013, pp.11-18.

48.

Hurtado, S, Carter, D. F., and Spuler, A., “Latino student transition to college: Assessing difficulties and factors in successful college adjustment”, Research in Higher Educationa, 37(2), 1996, pp.135-157.

49.

Choi, S. A., and Park, J. Y., “The impact of techno-stress on nursing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with stres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5(1), 2018, pp.39-49.

50.

Park, E. J., and Lee, H. K.,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freshmen's intention to drop out of school: Focusing on K College”, Youth Culture Forum, (46), 2016, pp.91-111.

51.

Lee, J. Y., “Measures to utiliz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Focusing on case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to reconsider awareness of unification”, Journal of Liberal Arts Education, 7(5), 2013, pp.495-521.

52.

Kim, J. H.,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for history education field trips,” M.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August 2007.

53.

Lee, J. Y., “Measures to utiliz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Focusing on case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to reconsider awareness of unification”, Journal of Liberal Arts Education, 7(5), 2013, pp.495-521.

54.

Han, S. Y., and Eom, S. H.,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field experiences at heritage tourist sites - Focusing on the Suwon Hwaseong Temporary Palace experience program”, Tourism Research, 20(2), 2005, pp.55-69.

55.

Astin, A. W.,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T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 1993.

56.

Bong, M. M., Kim, S. I., Reeve, J., Lim H. J., Lee, W. G., Jiang, Y., and Hwang, A. R., “SMILES (Student Motivat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cales): A measure of student motivat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Brain and Motivation Research Institute, 2012, Available from: http://bmri.korea.ac.kr/english/research/assessment_scales/list.html, Accessed 20 November, 2023.

57.

Lee, M. H., and Lee, J. M.,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gineering 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interest that influences engineering students' academic persis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8(4), 2015, pp.13-25.

58.

Jang, H. B.,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flow, majo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among junior college freshmen”,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August 2023.

59.

Shin, E. H., “Implication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t American universities”, Journal of Liberal Arts, 1, 2009, pp.47-81.

60.

Jeong, M. S., and Seol, G. J., “A study on future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for civic educ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gi-do”, Citizen Education Research, 40(3), 2008, pp.133-170.